
6·27 대책 전후 수도권 거래시장. © 직방
[프라임경제] 6·27 가계부채 관리 강화 대책이 수도권 아파트 시장에 빠르게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 규제 발표 이후 불과 2주 남짓한 기간 거래량, 거래금액, 면적 모두가 하향 조정을 받으며 시장은 급속히 관망 국면으로 접어든 모습이다.
부동산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대책 발표 전' 6월10일부터 '이후' 7월15일 실거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수도권 아파트 중위 거래가격은 6억6000만원에서 5억원으로, 전용면적은 84㎡에서 75㎡로 축소됐다. 거래량도 2만474건에서 5529건으로 73% 급감했다.
전문가들은 이를 단순한 거래심리 위축이 아닌 "실제 선택 가능한 물건 자체 변화"로 해석하고 있다. 자금 조달이 어려워지면서 수요자가 감당 가능한 면적과 가격대가 아래로 이동했다는 분석이다.

서울 아파트, 6·27 대책 전후 거래시장. © 직방
서울 지역은 이런 흐름이 더욱 두드러졌다. 중위 거래가격이 10억9000만원에서 8억7000만원으로 떨어졌으며, 거래 면적도 84㎡에서 78㎡로 줄었다.
'대출 규제 직격탄'을 맞은 강남권에서는 서초구‧강남구 모두 고가‧대형 평형 거래가 사실상 멈췄다. 서초구는 거래량이 134건에서 13건으로, 강남구는 142건에서 29건으로 각각 급감했다. '마용성' 준고가 지역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마포‧용산‧성동구 모두 중위가격이 1억~3억원가량 하락했고, 면적은 동일하나 거래량 감소와 함께 가격 조정 흐름이 나타났다.
일부에서 '풍선효과'가 언급된 중저가 지역도 거래가 부진했다. 노원구는 거래 면적 59㎡를 유지했지만, 중위가격은 5억9500만원에서 5억1900만원으로 하락했다. 금천‧구로‧관악 등도 전반적 가격 약세를 보였다.
경기권 역시 비슷한 흐름이다. 수원 영통‧분당‧용인 수지 등 고가‧인기 지역은 거래량 급감과 가격 조정이 병행됐다. 반면 여주‧안성 등 저가 단지는 큰 변동 없이 안정적 흐름을 이어갔다. 규제 강도 및 수요자 자금 여력에 따라 지역별 양극화가 나타난 결과로 풀이된다.

경기 아파트, 6·27 대책 전후 거래시장. © 직방
인천지역 역시 중위 가격이 3억7900만원에서 3억6000만원으로 소폭 하락했고, 연수‧계양‧부평구 등에서도 거래 위축과 가격 조정이 관측됐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는 정책 변화에 따른 과도기"라며 "심리 위축이라기보단 자금 여건 내 선택 가능한 조건이 바뀐 결과"라고 진단한다.
그는 이어 "다만 이번 하락이 일시적 조정인지 구조적 전환 신호인지는 향후 금리‧대출 환경 및 정책 방향에 따라 판단이 달라질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