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제자리걸음' 석유화학 구조조정, 업계 '눈치 보기'

한 달 지난 '구조조정안 발표' 업체마다 상황 달라…정부 압박↑

조택영 기자 | cty@newsprime.co.kr | 2025.09.23 15:19:46
[프라임경제] 중국·중동발 공급 과잉으로 위기를 겪고 있는 국내 석유화학산업의 구조조정이 지지부진하자 정부가 압박에 나섰다. 하지만 업계는 업체마다 상황이 달라 선뜻 나서지 못한 채 눈치 보기를 이어가고 있는 형국이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정부는 복수의 석유화학 기업에 사업 구조조정 재편 계획 제출과 관련한 가이드라인을 전달했다. 구조조정안을 발표한 지 한 달이 지났지만 기업 간의 통폐합 논의가 지지부진하자 정부가 압박에 나선 것이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20일 국내 전체 NCC(나프타분해시설) 용량 1470만톤 중 18~25%에 해당하는 270만~370만톤을 기업들이 자율 감축하는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이후 △여수 △대산 △울산 국내 3대 석유화학 산업단지에서는 정유사를 중심으로 석유화학사들의 통합 제안이 오가는 것으로 알려졌다.

LG화학 여수공장. ⓒ LG화학


석유화학사가 원유를 다루는 정유사와 손을 잡으면 원재료인 나프타의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고, 설비 합리화를 통해 NCC 생산능력도 조절할 수 있어 구조조정 논의 초기부터 이러한 수직 계열화가 핵심 방안으로 떠올랐다.

현재 LG화학(여수)과 GS칼텍스가 NCC 통폐합을 협의하고 있고, 롯데케미칼과 여천NCC 간 설비 통합 논의도 이뤄지는 것으로 전해졌다.

대산에서도 HD현대오일뱅크와 롯데케미칼이, 울산에서는 SK지오센트릭과 대한유화가 통합하는 방안이 거론된다.

수직 계열화 외에도 석유화학사 간 수평적 통합을 위한 빅딜 논의도 꾸준하다. 하지만 서로 눈치 보기에 급급하다. 업체마다 사업 구조나 재정 상황에 따라 구조조정의 필요성이 다른데다, 외국계 또는 합작사들은 해외 본사의 전략 결정이 중요해 협상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이런 상황 가운데 속도감 있는 구조조정을 위해선 추가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업계는 자산 통합 과정에서의 세제 부담 경감이나, 공정거래법상 기업결합 심사의 한시적 완화 등을 요청 중이다.

하지만 정부가 선 자구노력, 후 지원을 원칙으로 업계의 뼈를 깎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어 정부의 압박은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협상장 분위기를 보면 좀 더 구체적인 정책적 지원이 있어야 논의가 쉬워질 것으로 보인다"며 "최선을 다하고 있지만 기업만의 노력으로 한계가 있으니 정부도 적극적인 역할을 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