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주택정책 대전환 예고' 모듈러 바람 타는 건설업계

GS·DL·현대 등 대형사, 전통 방식 넘는 '모듈러 전환' 본격화…업계 "제도·단가 현실화 관건"

박선린 기자 | psr@newsprime.co.kr | 2025.09.23 11:15:43

© 연합뉴스


[프라임경제] 정부의 주택공급 전략 변화 속에서 '모듈러 주택'이 새로운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최근 부동산 관계 장관회의를 통해 발표된 '주택공급 확대 방안'을 바탕으로, 절차 간소화와 사업성 보완을 통해 서울 40만가구, 수도권68만가구의 공급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내년부터 2030년까지 수도권에서만 약 23만4000가구의 착공이 예상된다.

이번 정책의 핵심은 '신속한 공급'이다. 2030년까지 수도권에만 연평균 27가구, 총 135만가구를 공급하겠다는 정부의 목표는 기존 계획보다 연간 11만가구가 늘어난 수치다. 

특히 정부가 주택공급 속도를 높이기 위해 공장에서 미리 제작한 건축물을 현장에 설치하는 모듈러 주택 방식에 주목하고 있다. 이는 전통 건설 방식보다 빠르고 절차가 간단해 정책적 지원이 집중될 전망이다. 임기 내 공급 성과를 가시화하기 위한 전략적 선택인 셈이다.

모듈러 공법은 주요 구조체와 내·외장재를 공장에서 사전 제작한 뒤, 이를 건설 현장으로 운송해 조립·설치하는 방식이다. 공정 단축은 물론 품질 관리와 안전 측면에서도 장점이 크다. 고소작업이 많은 기존 현장 시공과 달리, 모듈러 방식은 작업의 대부분이 공장에서 이뤄져 현장 위험도를 크게 낮출 수 있다.

정부와 건설업계는 이러한 기술적 특성에 주목하고 있다. 국토부 등 관계부처는 최근 모듈러 주택 시공 현장을 방문해 관련 기술 발전 상황을 직접 점검했으며, 국토부는 모듈러 주택 연구개발(R&D)에도 본격적으로 착수한 상태다. 

향후 5년간 3000가구, 2030년 이후에는 연간 5000가구의 임대주택을 모듈러 방식으로 공급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내년 상반기에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모듈러 매입임대주택 설계·시공 가이드라인이 마련되고, 하반기에는 시범사업도 착수된다. 저층 주택 부지를 시작으로 'OSC·모듈러 특별법(가칭)' 제정이 추진되며, 대량 발주를 통한 단가 인하, 매입 가격 기준 정립, 규제 완화 및 인센티브 확대 등의 법·제도적 기반도 다져질 예정이다.

건설사들, 정책 발맞춰 시장 선점 경쟁…"민간 확산 위한 정교한 정책 필요"

정부 정책에 발맞춰 주요 건설사들도 모듈러 시장 선점에 속도를 내고 있다. 

우선 GS건설(006360)은 국내 대형사 중 가장 먼저 모듈러 사업에 진출한 케이스로, 2020년 해외 자회사 엘리먼츠 인수와 함께 목조 모듈러 전문 자회사 '자이가이스트(XiGEIST)'를 설립했다. 엘리먼츠는 실적 부진으로 청산됐지만, 이번 정책 기조에 따라 모듈러 중심의 미래 성장 전략을 다시 설계할 기회를 맞이하고 있다.

GS건설 관계자는 "이번에 국토부로부터 인정받으면서 철골 모듈러 주택이 공동주택 분야에서도 보다 폭넓게 활용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며 "앞으로도 안전성과 품질을 최우선 가치로 삼아, 모듈러 건축을 지속 가능한 주거 공급 방식으로 꾸준히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DL이앤씨(375500) 역시 모듈러 공법 도입에 적극적이다. 싱가포르의 카리플렉스 신공장 건설에 해당 기술을 적용했으며, 2023년에는 전남 구례에 국내 최초의 '모듈러 단독주택 타운형 단지'를 준공했다. 최근에는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통해 공동주택 전 공정에 모듈러 공법을 본격 적용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현대엔지니어링도 지난해 용인 영덕 경기행복주택에 고층 모듈러 공법을 적용하며 주목을 받았다. 특히 고층 구조물 접합 기술에 관련된 특허 2건, 모듈러 관련 특허 17건과 신기술 1건을 보유하는 등 기술적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다만 건설업계는 모듈러 공법 활성화를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도 여전하다고 본다. 특히 기존 아파트 중심의 평가 기준이 여전히 적용되고 있는 점, 공사비 현실화 문제, 모듈러 공정에 맞는 법·제도 정비가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크다. 

업계 한 관계자는 "대형사들은 이미 높은 수준의 모듈러 기술을 갖추고 있지만, 공공 중심으로 사업이 추진되는 만큼 단가 현실화와 규제 개선이 병행돼야 한다"고 지적하며 "주택 공급 방식의 전환이 현실화되려면, 정책의 방향성과 시장의 요구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는 정교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