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가상자산의 미래는 지금이다. 뛰어들어라. 이젠 가상자산이 세계를 바꾸고 규칙을 바꿀 것이다"
9일 열린 '업비트 D 콘퍼런스 2025'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차남인 에릭 트럼프가 화상 대담을 통해 남긴 말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차남 에릭 트럼프가 9일 오전 서울 강남구 한 호텔에서 열린 '업비트 D 콘퍼런스'에서 대담에 참여하고 있다. ⓒ 연합뉴스
그는 트럼프오거니제이션 총괄 부사장을 맡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장남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와 함께 월드리버티파이낸스(WLF)를 공동 창립해 가상자산 사업을 전략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에릭 트럼프는 "5년 전까지만 해도 가상자산에서 우리가 이렇게 깊이 관여하게 될 것이라고는 단 1초도 상상하지 못했다"며 "우리는 '하드 에셋(부동산)' 사람들, 즉 만지고 눈으로 볼 수 있고 손에 잡히지 않으면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가상자산은 현재 금융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고 금융의 미래를 만들 수 있다"며 "매년 인플레이션과 부패로 고통받는 특정 국가의 국민들도 스마트폰만 있으면 가상자산 지갑을 만들 수 있다"고 극찬했다.
반대로 기존의 금융 시스템에는 비판적인 입장을 드러냈다. 그는 "슈퍼마켓은 언제든 가지만 은행 송금은 그렇게 못한다는 게 말이 안 된다. 전통적인 금융은 너무 낡았고 아버지도 그걸 파악했다"며 "대형 은행들은 디지털 자산을 수용하지 않으면 업비트를 비롯해 코인베이스, 바이낸스에 뒤처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아시아의 가상자산 시장에 대해서는 "한국은 미국 다음으로 가상자산 수용에 역동적인 국가"라며 "우리는 서울에 6개의 빌딩을 보유하고 있고, 한국에서 우리의 이름을 다시 보게 될 것이다. 부동산 투자 관점에서 큰 기회를 살펴보고 있다"고 예고했다.
한편, 이날 행사를 주최한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의 오경석 대표는 "업비트가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유통을 지원한다면 K 금융이 아시아를 거쳐 글로벌로 진출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될 것"이라며 "미국에서 할 수 있는 사업을 한국에서도 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지원해 준다면 국가대표 선수로서 당당히 경쟁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