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현대차·기아, 전기차 화재 안전 정보 전면 공개

예방·대응·보상 전 과정 체계화…배터리 3사 협력 맞물린 전동화 신뢰 전략

노병우 기자 | rbu@newsprime.co.kr | 2025.08.27 14:57:37
[프라임경제] 현대자동차(005380)와 기아(000270)가 전기차 화재 안전과 관련한 정보를 업계 최초로 한데 모아 공개했다. 단순히 기술 과시 차원이 아니라 전기차시장에서 소비자가 가장 크게 불안해하는 '배터리 화재' 리스크를 정면 돌파하겠다는 메시지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 7월 국내 전기차 판매량은 2만5568대로 전년 대비 69.4% 증가하며 월간 기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문제는 판매 확대만큼 화재 관련 우려도 빠르게 커지고 있다. 

이번에 현대차·기아가 그룹 차원의 블로그를 통해 EV 안전정보를 집대성한 것은 전기차 전환을 양적 확대에서 질적 신뢰로 전환하려는 신호다. 단순히 더 많이 파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가 불안 없이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전동화 경쟁의 본질이라는 판단이다. 즉, 성장=안전 확보라는 공식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현대차·기아가 공개한 내용은 크게 △화재 예방 △화재 대응 △후속조치로 구분된다.

먼저 화재 예방 단계에서는 △E-GMP 플랫폼의 안전 설계 △고도화된 BMS(배터리 관리 시스템) 진단 기술 등 차량 내재적 안전성을 강조했다. 동시에 제도와 서비스 차원에서 커넥티드 카 라이트 서비스를 통해 EV 고객에게는 10년간 SOS 출동·자동사고 통보 등 안전기능을 무상 제공하고, 전기차 안심점검 서비스로 핵심 부품 점검을 10년간 지원한다.

현대차그룹은 전기차 시대의 선두주자로서 고객이 안전한 전기차 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다방면으로 혁신을 거듭하는 중이다. ⓒ 현대자동차그룹


아울러 대응 단계에서는 소방 현장과의 연결고리를 강화했다. 전국 241개소 소방서에 전기차 화재 실습 교육을 제공하고, 차종별 긴급대응 가이드 제작·배포로 현장 대응력을 높였다. 

특히 기아 PV5에는 전·후면 유리에 QR코드 부착, 스마트폰으로 즉시 스캔해 배터리 위치·절연 장치·차단법을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이는 '화재는 1분의 대응속도가 결과를 바꾼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마지막으로 후속 조치 단계에서는 '전기차 화재 안심 프로그램'을 소개했다. 자동차보험 대물보상 한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도 최대 100억원까지 보상 지원이 가능해 피해 고객뿐 아니라 제3자까지 보호하는 안전망을 구축했다. 이는 국내외 완성차업체 중 전례를 찾기 힘든 대응책이다.

전기차시장의 성장 곡선과 화재 불안은 동전의 양면이다. 글로벌 차원에서 전기차 화재 이슈는 규제 강화로 직결되고, 소비자 신뢰 확보 여부가 곧 판매량을 좌우한다.

현대차·기아는 이미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과 협력하며 배터리 안전성 고도화를 추진 중이다. 지난 22일 남양연구소에서 배터리 3사와 EV 안전 TFT 협력 결과를 공유한 직후, 이번 블로그 공개를 연이어 내놓은 것도 '기술 협력-소비자 신뢰' 투 트랙 전략이다.

또 글로벌 전기차시장이 보호무역과 안전 규제 강화 국면으로 가는 상황에서 선제적으로 안전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는 것은 향후 미국·유럽 등 주요 시장에서 규제 대응과 브랜드 신뢰 확보라는 두 가지 효과를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기아 관계자는 "현대차그룹은 세계 최고 수준의 전기차 제조사로서, 전기차 대중화를 선도하기 위해 다양한 안전기술과 서비스로 철저히 대응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배터리 안전성을 강화하는 동시에 예기치 않은 화재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개발을 지속해 나갈 것이다"라고 말했다.

전기차시장은 성장 속도만큼 불신도 커지고 있다. 현대차·기아가 이번에 보여준 '예방-대응-보상'의 삼각 안전망은 결국 소비자의 마음을 누가 먼저, 얼마나 확실하게 사로잡느냐의 싸움에서 중요한 분기점이 될 전망이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