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LG이노텍(011070)이 올해 2분기 비우호적 환율과 대미 관세 리스크에 따른 풀인(선구매) 영향으로 시장 기대에 못 미치는 성적을 냈다.
LG이노텍은 연결 기준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11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2.5%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3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13.6% 줄어든 3조9346억원을 기록했다. 순손실은 87억원으로 적자 전환했다.
사업 부문별로 보면 광학솔루션사업은 전년 동기 대비 17.1% 감소한 3조527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전 분기와 비교하면 26.2% 줄었다.
통상적인 계절적 비수기에 진입한 데다 환율 하락, 관세 리스크로 인한 1분기 풀인 수요 등의 영향으로 매출이 감소했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기판소재사업은 전년보다 10% 증가한 4162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전 분기 대비로는 10.4% 증가한 수치다. RF-SiP(Radio Frequency-System in Package)를 중심으로 한 반도체 기판의 안정적 공급이 매출을 견인했다.
전장부품사업은 전기차 등 전방 산업의 성장세 둔화로 매출 성장이 제한적인 상황에서도 차량 통신 및 조명 모듈 등 고부가 제품의 매출과 비중이 모두 늘었다. 2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6.2%, 전 분기 대비 0.4% 감소한 4657억원으로 집계됐다.
LG이노텍은 "하반기는 주요 고객사 신모델의 양산이 본격화하고, 카메라 모듈을 비롯해 RF-SiP 등 통신용 반도체 기판의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며 "차량 통신·조명 등 기존에 수주했던 고부가 전장부품의 매출 실현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LG이노텍은 FC-BGA(Flip Chip-Ball Grid Array), 차량 AP(Application Processor) 모듈과 같은 반도체용 부품, 차량용 센싱·통신·조명 등 모빌리티 부품에 이어 로봇 부품에 이르기까지 사업 포트폴리오 고도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를 통해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갖추고 중장기 성장동력을 확보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회사 관계자는 "하반기 베트남, 멕시코 신공장 증설 완료를 기점으로 전략적 글로벌 생산지 운영을 가속화하는 한편, AX(AI 전환) 도입 확대 등을 통해 원가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