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객장에서 트레이더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 연합뉴스
[프라임경제] 뉴욕증시는 상승마감했다. 드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해임 보도에 부인하자 강세를 보였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사흘 연속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현지시간으로 16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30 산업 평균 지수는 전장보다 231.49p(0.53%) 오른 4만4254.78을 기록했다.
대형주 중심의 S&P500 지수는 19.94p(0.32%) 오른 6263.70에 마감했다. 기술주 중심 나스닥 지수는 52.69p(0.25%) 오른 2만730.49로 장을 마쳤다.
이날 장은 강세로 출발해 트럼프 대통령이 파월 의장을 조만간 해임할 것이라는 보도가 전해지자 하락 전환했다.
미국 CBS, 블룸버그, CNBC 등 다수 매체가 공화당 의원들과의 비공개 간담회에서 파월 의장 해임에 대한 의견을 물었고, 의원들이 이에 찬성했다고 보도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곧바로 파월 해임설을 부인하며 시장은 안정을 되찾아 강세 마감했다.
아울러 이날 발표된 6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년 동기 대비 2.3% 상승, 전월 대비 보합을 기록하며 인플레이션 우려를 완화한 점도 상방 압력으로 작용했다. 근원 PPI는 2.6% 올라 시장 전망치를 하회했다.
주요 기술주는 혼조 양상을 보였다.
엔비디아가 전일 대비 0.39% 오른 171.37달러로 거리를 마쳤으며, 테슬라(3.5%), 알파벳(0.53%), 애플(0.50%) 등 강세를 보였다.
반면 아마존(-.4%), 메타(-1.1%), 마이크로소프트(-0.04%) 등은 하락했다.
국채금리는 파월 해임설에 큰 변동성을 보였다. 3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이날 오전 파월 의장 해임설 보도 직후 급등해 5% 선을 뚫고 5.08%까지 고점을 높였다가 트럼프 대통령의 부인 이후 상승 폭을 반납했다.
달러는 역시 약세를 보였다. 주요 6개국 통화대비 달러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0.32% 내린 98.31pt를 가리켰다.
국제유가는 약세를 보였다.
미국 내 휘발유 재고가 크게 늘어나 수요 둔화에 대한 전망으로 이어지며 하방 압력으로 작용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8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 거래일 대비 0.14달러(0.2%) 내린 배럴당 66.38달러에 마감했다. 런던 국제선물거래소(ICE)에서 9월물 브렌트유도 전장 대비 0.19달러(0.3%) 내린 68.52달러에 장을 마쳤다.
유럽증시도 일제히 하락했다.
프랑스 파리 증시 CAC 40 지수는 전일 대비 0.57% 내린 7722.09에 거래를 마감했다. 범유럽 지수인 유로 Stoxx50 지수는 전장 대비 1.05% 내린 5298.07을 기록했다.
영국 증시 FTSE 100 지수는 0.13% 내린 8926.55로 거래를 마쳤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지수는 전일대비 0.21% 내린 2만4009.38에 거래를 마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