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객장에서 트레이더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 연합뉴스
[프라임경제] 뉴욕증시가 하락세를 보였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을 비롯한 주요 교역국에 관세 서한을 발송하자 관세 불확실성이 재차 확산되며 투심이 위축됐다.
현지시간으로 7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30 산업 평균 지수는 전장보다 422.17p(0.94%) 내린 4만4406.36을 기록했다.
대형주 중심의 S&P500 지수는 49.37p(0.79%) 내린 6229.98에 마감했다. 기술주 중심 나스닥 지수는 188.59p(0.92%) 내린 2만412.52에 장을 마쳤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트루스소셜 계정에 이날 한국과 일본, 말레이시아, 남아프리카공화국, 라오스, 미얀마, 카자흐스탄 총 7개국에 관세 서한을 발송했다며 관련 내용을 공개했다.
아울러 8월1일부터 한국 제품에 대해 25%의 수입 관세를 부과한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앞으로 더 추가돼 한국과 일본 외 12개 국가도 관세 서한을 받게 될 것이라고 미국 백악관 측은 전했다.
한국은 4월2일 발표한 상호관세율이 그대로 적용됐고, 일본은 1%p 상향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서한에 상대국들이 보복성 관세를 부과하지 말 것을 경고한다"며 "만약 여러분이 어떤 이유로든 자국의 관세를 인상했다면 미국의 25% 관세에 인상분을 추가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다만 한국이 시장을 개방하고 비관세 장벽을 철폐한다면 관세는 상하향도 가능하다"며 "한국은 결코 미국에 실망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채금리는 트럼프 최종 관세율이 예상보다 높을 수 있다는 소식에 상승했다. 경기 동향을 잘 반영하는 10년물은 전일비 4.9bp 오른 4.389%를 기록했다. 연준 정책에 민감하게 연동하는 2년물 국채금리는 1.7bp 상승한 3.899%로 집계됐다.
달러도 강세를 보였다. 주요 6개국 통화대비 달러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0.3% 오른 97.48pt를 가리켰다.
국제유가는 상승세를 보였다. 사우디아라비아가 원유 수출 가격을 전격 인상한 것이 상승 압력으로 작용했다.
아시아 시장에 판매되는 대표 원유인 '아랍 라이트(Arab Light)'의 8월 공식 판매가격을 기존보다 배럴당 1달러, 지역 벤치마크 대비 프리미엄을 2.20달러로 조정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8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 거래일 대비 0.93달러(1.38%) 오른 배럴당 67.93달러에 마감했다. 런던 국제선물거래소(ICE)에서 8월물 브렌트유도 전장 대비 1.28달러(1.87%) 오른 69.58달러에 장을 마쳤다.
유럽증시는 혼조세를 보였다.
프랑스 파리 증시 CAC 40 지수는 전일 대비 0.35% 오른 7723.47에 거래를 마감했다. 범유럽 지수인 유로 Stoxx50 지수는 전장 대비 1.00% 오른 5341.54을 기록했다.
영국 증시 FTSE 100 지수는 0.19% 내린 8806.53로 거래를 마쳤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지수는 전일대비 1.20% 오른 2만4073.67에 거래를 마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