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객장에서 트레이더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 연합뉴스
[프라임경제] 뉴욕증시 주요 지수가 또다시 사상 최고가를 달성했다. 미국과 베트남 간 무역협정 소식이 전해지며 투자심리를 자극했다.
현지시간으로 2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30 산업 평균 지수는 전장보다 10.52p(0.02%) 내린 4만4484.42를 기록했다.
대형주 중심의 S&P500 지수는 29.41p(0.47%) 오른 6227.42로 마감했다. 기술주 중심 나스닥 지수는 190.24포인트(0.94%) 오른 2만393.13에 장을 마쳤다.
S&P500 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또다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날 미국의 고용지표가 부진하게 발표되며 3대 지수는 장 초반 약세를 보였으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베트남과 무역 합의를 도출했다고 밝히자 상승 전환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앞서 지난 4월 베트남에 대해 상호 관세율 46%를 책정한 바 있다. 양국은 이번 협상을 통해 베트남 시장 개방을 조건으로 관세율을 20%로 대폭 낮췄다.
다만 오토매틱데이터프로세싱(ADP) 전미 고용보고서에 따르면 6월 민간 고용은 전달보다 3만3000명 감소했다. 이는 월가의 예상밖 감소로, 지난 2023년 3월 이후 첫 감소다.
테슬라(4.97%), 애풀(2.22%), 엔비디아(2.58%), 알파벳(1.59%) 등 대형 기술주를 중심으로 올랐다. 반면 마이크로소프트(-0.20%), 아마존(-0.24%), 메타(-0.79%) 등은 내렸다.
아울러 나이키(4.06%), 웨이페어(8.60%), 온 홀딩(2.85%) 등 베트남에 생산 기반 미국 소매업체들은 무역 합의 소식에 상승세를 탔다.
국채금리는 상승했다. 경기 동향을 잘 반영하는 10년물은 전일비 3.6bp 오른 4.287%를 기록했다. 연준 정책에 민감하게 연동하는 2년물 국채금리는 1.6bp 상승한 3.793%로 집계됐다.
달러도 올랐다. 주요 6개국 통화대비 달러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0.15% 오른 96.79pt를 가리켰다.
이란 국영매체는 마수드 페지시키안 이란 대통령이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협상 잠정 중단 선언을 보도하며 국제유가는 상승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8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 거래일 대비 2.00달러(3.06%) 오른 배럴당 67.45달러에 마감했다. 런던 국제선물거래소(ICE)에서 9월물 브렌트유도 전장 대비 2.00달러(2.98%) 오른 배럴당 69.11에 장을 마쳤다.
유럽증시는 어제에 이어 혼조세를 보였다.
프랑스 파리 증시 CAC 40 지수는 전일 대비 0.99% 오른 7738.42에 거래를 마감했다. 범유럽 지수인 유로 Stoxx50 지수는 전장 대비 0.69% 오른 5318.72을 기록했다.
영국 증시 FTSE 100 지수는 0.99% 오른 7738.42로 거래를 마쳤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지수는 전일대비 0.49% 오른 2만3790.11에 거래를 마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