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미래에셋자산운용, 국내외 운용자산 400조 돌파…해외 진출 22년 만에 성과

해외 운용자산 181조원…"세계 각국 우량 자산 발굴해 경쟁력 있는 금융상품 제공할 것"

박진우 기자 | pjw19786@newsprime.co.kr | 2025.06.24 10:21:07

ⓒ 미래에셋자산운용


[프라임경제] 미래에셋자산운용의 글로벌 운용자산이 400조원을 돌파했다. 이는 해외 진출 22년 만에 이룬 성과다.

24일 미래에셋자산운용에 따르면 지난달 21일 기준 미래에셋자산운용의 국내외 운용자산(AUM)이 총 400조원에 달했다. 이 중 약 45%에 달하는 181조원은 해외에서 운용되고 있다.

미래에셋은 지난 2003년 국내 운용사 중 처음으로 글로벌 시장에 진출했다. 당시 국내에서는 골드만삭스·메릴린치 등 유수의 기업들과의 경쟁은 무리라는 부정적인 반응이 많았다.

그러나 미래에셋그룹 글로벌전략가(GSO)인 박현주 회장은 글로벌 시장에 대한 장기적인 비전을 놓치지 않았다.

22년이 지난 현재 미래에셋자산운용은 미국·베트남·브라질·아랍에미리트·영국·인도·일본·중국·캐나다·콜롬비아·호주·홍콩 등 16개 지역에서 403조원을 운용하고 있다.

미래에셋의 글로벌 비즈니스는 미국과 캐나다, 홍콩 등 전 세계 곳곳에서 활약하는 상장지수펀드(ETF)가 견인하고 있다. 

지난달 21일 기준 미래에셋이 전 세계에서 운용중인 글로벌 ETF는 650개에 달한다. 총 순자산은 무려 212조원이다. 현재 국내 전체 ETF시장(약 200조원)보다 큰 규모다.

국내에서는 2006년 처음으로 'TIGER ETF'를 선보인 미래에셋은 그동안 국내 최초 미국 나스닥100 지수를 추종하는 'TIGER미국 나스닥100 ETF' 등 다양한 ETF로 투자자들에게 선택의 폭을 넓혀줬다.

최근에는 'Chat GPT'와 같은 혁신성장 테마형 ETF 시장을 주도할 뿐 아니라, 국내 최초 스트립채권을 활용한 ETF 개발 및 국내 최다 월배당 ETF 라인업 구축 등 ETF 시장의 발전을 이끌고 있다.

해외 시장에서는 유망한 ETF 운용사를 인수, 글로벌 ETF 운용사로 발돋움했다. 

실제 박현주 회장은 지난 2011년 캐나다 ETF 운용사 '호라이즌스(Horizons ETFs)' 를 시작으로 2018년 미국 'Global X(글로벌엑스)', 2022년 호주 'ETF 시큐리티스(ETF Securities)'를 인수하는 등 글로벌 ETF 비즈니스 확장을 위해 적극적인 인수합병(M&A)을 추진해 왔다.

특히 'ETF Securities'는 국내 운용사가 해외에서 벌어들인 수익으로 해외 ETF 운용사를 인수한 최초의 사례다.

2023년에는 호주 로보어드바이저 전문 운용사인 '스탁스팟(Stockspot)'을 인수했다. 국내 금융그룹이 해외 로보어드바이저 전문 운용사를 인수한 것은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처음이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Stockspot 인수를 통해 AI 기반 서비스를 접목한 금융시장에 본격 진출한다는 계획이다.

이 같은 활약으로 박현주 회장은 미래에셋그룹을 세계적인 수준의 투자은행(IB)으로 발전시킨 리더십을 인정받고 있다.

미래에셋자산운용관계자는 "2003년 국내 운용사 최초로 해외 시장에 도전장을 낸 이후 20년 넘게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글로벌 금융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왔다"며 "앞으로도 세계 각국의 우량자산을 발굴하고 경쟁력 있는 금융상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더욱 발전하겠다"고 말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