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6월 소비자심리, 4년 만에 최고치…2차 추경·새정부 경제정책 기대감 영향

주택가격전망 44개월 만에 최대…금리수준전망은 6p 하락

박대연 기자 | pdy@newsprime.co.kr | 2025.06.24 10:24:07

소비자심리지수 추이. ⓒ 한국은행


[프라임경제] 이달 소비자심리지수가 두 달 연속 큰 폭으로 뛰면서 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와 2차 추가경정예산(추경)안 편성, 새 정부의 경제 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커진 영향이다.

한국은행(이하 한은)이 24일 발표한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달 중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08.7로 전월 대비 6.9포인트(p) 상승했다. 이는 지난 2021년 6월(111.1) 이후 4년 만에 최고치다. 

CCSI는 소비자동향지수(CSI)를 구성하는 6개의 주요 지수를 이용해 산출한 심리지표다. 장기평균치(2003~2023년)인 100보다 높으면 소비 심리가 낙관적, 100을 밑돌면 비관적임을 의미한다.

CCSI는 지난해 7~11월까지 100 이상을 기록했다가 지난해 12월 계엄 사태 여파로 88.2로 급락했다. 이후 지난 4월부터 오르기 시작해 이달까지 3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달과 비교하면 CCSI를 구성하는 6개 지수는 모두 상승했다. 특히 현재경기판단CSI(74)와 향후경기전망CSI(107)가 각각 11p, 16p 오르면서 전체 소비심리를 끌어올렸다.

이외에도 △현재생활형편CSI(92) 2p 상승 △생황형편전망CSI(101) 4p 상승 △가계수입전망CSI(102) 3p 상승 △소비지출전망CSI(110) 2p 상승했다. 

이혜영 경제통계1국 경제심리조사팀장은 "이달엔 2차 추경 편성 등 새 정부의 경제 정책이 본격화하는 데 따른 기대감이 작용했다"며 "조사 기간 후반이었던 지난 13일 시작된 중동 전쟁 등 대외 리스크 요인은 이번 조사에서 크게 반영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주택가격전망CSI(120)는 9p 상승했다. 이는 4개월 연속 상승세로, 지난 2021년 10월(125) 이후 44개월 만에 최고치다. 수도권 및 일부 지역 아파트 매매가격의 오름세 확대 등으로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이 상승하면서 지수 상승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금리수준전망CSI(87)는 6p 하락했다. 이는 지난 2020년 6월(82) 이후 가장 낮은 수치로, 기준금리가 당분간 더 내려가기 어렵다고 보는 시각이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상승률에 대한 전망을 나타내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4%로 전월 대비 0.2%p 하락했다. 3년 후와 5년 후의 기대인플레이션율은 모두 2.4%로 전월 대비 0.1%p 하락했다.

이 팀장은 "향후 관세 유예 종료, 중동 지역 리스크 등 변수가 남아 있어 소비심리가 상승세를 이어갈지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