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지난달 수입물가가 국제유가 내림세 영향에 1년6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하며 4개월 연속 하락했다. 수출물가도 원·달러 환율이 떨어지며 2개월 연속 떨어졌다.
한국은행(이하 한은)이 17일 발표한 '5월 수출입물가지수 및 무역지수(잠정)'에 따르면 지난달 수입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3.7% 하락한 134.63을 기록했다.
지난 2월(-1.0%)과 3월(-0.4%), 4월(-2.3%)에 이어 넉 달 연속 하락세로, 이달 하락 폭은 지난 2023년 11월(-4.3%) 이후 최대 낙폭이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5.0% 하락했다.
국제유가 하락이 주된 요인으로 작용했다. 지난달 국제 유가가 두바이유 기준 전월 대비 5.9% 하락하면서 원유(-9.2%) 등 광산품(-5.5%) 위주로 원재료 물가가 크게 떨어졌다.
수입물가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원재료는 광산품을 중심으로 전월 대비 5.5% 하락했다. 중간재는 화학제품, 석탄 및 석유제품 등이 내리며 전월 대비 3.2% 떨어졌다. 자본재와 소비재는 각각 전월 대비 2.7%, 2.3% 하락했다.
주요 등락 품목을 보면 △커피(-6.1%) △원유(-9.2%) △나프타(-4.2%) △골프용품(-2.3%) △냉동수산물(-3.4%) 등이 내렸다.
환율 효과를 뺀 계약통화 기준 수입물가는 전월 대비 0.6% 하락했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7.5% 하락했다.
이문희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이달 수입 물가 전망과 관련해 "이달 들어 두바이유 가격이 전월 대비 올랐지만, 환율은 하락하고 있다"며 "유가와 환율이 상반된 움직임을 보이고 있고, 중동 지역 정세 등 국내외 여건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기 때문에 조금 더 추이를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수출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3.4% 하락한 128.56으로 집계됐다. 지난 4월(-1.5%)에 이어 두 달 연속 하락세로, 지난 2023년 11월(-3.4%) 이후 하락 폭이 가장 컸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2.4% 하락했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농림수산품이 0.8% 하락했다. 공산품은 화학제품과 석탄및석유제품 등을 중심으로 3.4% 내렸다.
품목별로는 △신선수산물(-1.5%) △합성섬유직물(-3.7%) △경유(-4.4%) △D램(-3.2%) △유기발광다이오드(OLED·-5.4%) 등이 하락했다.
우리나라 교역조건을 보여주는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수입가격이 수출가격보다 더 크게 하락하면서 전년 동월 대비 3.4% 상승했다. 23개월 연속 상승세다.
수출 총액으로 수입할 수 있는 전체 상품의 양을 의미하는 소득교역조건지수는 순상품교역조건지수와 수출물량지수가 모두 오르면서 6.0%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