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객장에서 트레이더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 연합뉴스
[프라임경제] 뉴욕증시가 숨고르기 장세를 보였다. 뚜렷한 모멘텀이 없는 상황에서 이번 주 급등했던 만큼 보합권에서 쉬어가는 양상을 보였다.
현지시간으로 14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30 산업 평균 지수는 전장보다 89.37p(0.21%) 내린 4만2051.06을 기록했다.
대형주 중심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6.03p(0.10%) 오른 5892.58에 마감했다. 기술주 중심 나스닥 지수는 136.72p(0.72%) 오른 1만9146.81에 장을 마쳤다.
이날 중국 상무부는 미중 무역협상에 따라 미국 기업들에 부과한 비관세 보복 조치를 유예한다고 전했다.
또 미국 기업 11곳을 '신뢰할 수 없는 기업' 목록에 올린 보복 조치의 시행을 이날부터 90일 동안 중단한다고 밝혔다. 미국 군수기업 6곳을 같은 목록에 포함한 조치 또한 별도의 시한 없이 적용을 중단한다고 덧붙였다.
미·중 무역협상 결과로 형성된 낙관론이 이날부터 이어졌다. 낙관적 분위기를 해칠 만한 요소가 없어 투자자들은 안도했으나 이와 동시에 차익실현 욕구 또한 강화되면서 3대지수는 뚜렷한 방향성을 보이지 않았다.
업종별로는 통신서비스가 1% 이상 올랐고 기술주도 0.96% 상승했다. 반면 의료건강은 이날도 2.31% 급락했다.
일부 빅테크가 강세 흐름을 이어갔다.
거대 기술기업 7곳을 가리키는 '매그니피센트7(M7)'은 혼조 양상이었다. 다만 엔비디아는 전날에 이어 이날도 4.16% 상승했다.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PIF)가 보유한 현지 인공지능 기업 휴메인과 대규모 공급 계약을 맺은 것의 영향이다.
테슬라 역시 4.1% 상승세를 보였으며 마이크로소프트(0.85%)와 메타(0.51%), 알파벳(3.66%) 등도 일제히 강세 흐름을 보였다.
반면 애플(-0.3%)과 아마존(-0.5%)은 소폭 하락 흐름을 보였다.
국체금리는 상승세를 지속했다. 경기 동향을 잘 반영하는 10년물은 전일비 7bp 오른 4.54%로 마감했다. 정책금리 전망에 민감한 2년물은 5bp 상승한 4.05%를 기록했다.
달러는 약세를 보이다 현재 보합 상태다. 주요 6개국 통화대비 달러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0.03% 밀린 101.03pt를 가리켰다.
국제유가는 5거래일 만에 하락했다. 미국 원유 재고가 예상보다 크게 늘었다는 소식이 수요둔화 우려감을 키웠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6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 거래일 대비 0.52달러(0.82%) 내린 배럴당 63.15달러에 마감했다. 런던 국제선물거래소(ICE)에서 7월물 브렌트유도 전장 대비 0.54달러(0.81%) 하락한 배럴당 66.09달러에 장을 마쳤다.
유럽증시도 일제히 하락했다.
프랑스 파리 증시 CAC 40 지수는 전일 대비 0.47% 내린 7836.79에 거래를 마감했다. 영국 증시 FTSE 100 지수는 0.21% 내린 8585.01에 거래를 마쳤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지수는 전일대비 0.47% 하락한 2만3527.01에 거래를 마감했다.
범유럽 지수인 유로 Stoxx50 지수는 전장 대비 0.24% 내린 5403.44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