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이르면 내일 정례회의에 MG손보 가교보험사 설립안을 올려 심의한다. ⓒ MG손해보험
[프라임경제] 청·파산 가능성으로 124만 계약자의 우려를 샀던 MG손해보험이 가교보험사로 처리될 것이 유력해졌다. 이에 계약자들은 한시름 놓게 됐으나, 노동조합은 여전히 반발을 예고하는 중이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이르면 14일 정례회의에 MG손보 가교보험사 설립안을 올려 심의한다.
가교보험사는 파산 위기에 처한 보험사의 자산과 부채를 임시로 관리하는 회사다. 금융당국이 재무적 부담을 떠안는 구조로, 예금보험공사가 100% 출자한다.
가교보험사가 세워지면 일단 MG손보의 자산·부채를 넘겨받은 다음 점진적 정리에 나설 전망이다. 물론 임시 관리가 목적인 만큼 새로이 보험계약을 체결하지는 않기에 일부 영업 정지라고 볼 수 있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지난 7일 MG손보 처리방안에 대해 "계약자 보호가 우선"이라는 입장을 내놓은 바 있다. 이에 회사 운영을 포기하더라도 이미 MG손보 상품에 가입된 계약자들을 살리는 방식을 택한 것으로 풀이된다.
가교보험사 설립안에 앞서 계약이전 방식도 논의됐으나 이를 받아들일 손보사가 없어 무산된 것으로 알려졌다. 계약이전이란 한 보험사가 보유한 보험계약 자체를 다른 보험사로 옮기는 것을 말한다.
이로써 계약자들은 한시름 놓게 됐으나, 노동조합은 여전히 불만을 표하고 있다. 가교보험사 설립시 고용승계 여부가 불투명해서다.
사무금융노조 MG손보지부는 이날 오전 11시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MG손보 일부 영업 정지 검토 중단 및 정상 매각 촉구 기자회견을 열 예정이다.
노조는 "직원들과 보험계약자를 보호하기 위해 정상 매각을 추진해야할 금융당국인 금융위가 금융시장과 금융노동자, 금융소비자 모두를 혼란에 빠뜨릴 일부 영업 정지와 폐쇄형 가교 보험사를 검토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노조의 이같은 주장은 업계 안팎에서 별다른 공감을 얻지 못하고 있다.
MG손보의 가교보험사 방식 처리가 논의되는 상황에 노조의 반발도 작용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들은 메리츠화재로의 매각이 유력할 당시에도 고용승계 여부를 들어 극구 반대했고, 결국 매각은 무산됐다.
이에 MG손보 소속 개인 보험대리점들로 구성된 영업가족협의회가 직접적으로 노조를 규탄하기도 했다. 노조는 보험대리점과 소속된 설계사들은 별도 사업자인 만큼 회사 직원들로 이뤄진 노조와는 시각 차이가 있다.
김연주 MG손보 영업가족협의회 수도권지회장은 "600명 직원 살리자고 124만 고객 계약과 전속 영업가족들을 볼모로 삼은 MG손보 노조위원장을 절대 용서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한 보험업계 관계자도 "금융당국 입장에서는 보험계약자 보호를 우선할 수밖에 없는 것"이라며 "본인들의 고용승계 보장 요구로 정상 매각이 무산됐기에 반대할 명분이 없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