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금강, 다시 흐르게 하자"…국회서 '하구 생태복원' 정책 간담회 열려

민·관·정 한목소리…"35년 멈춘 물길, 해수유통으로 생태·경제 되살려야"

오영태 기자 | gptjd00@hanmail.net | 2025.05.08 15:57:29
[프라임경제] 지난 7일 국회에서는 '국가하구 생태복원'을 차기 대선 국정과제로 채택하기 위한 민·관·정 정책간담회가 개최됐다.

지난 7일 국회에서는 '국가하구 생태복원'을 차기 대선 국정과제로 채택하기 위한 민·관·정 정책간담회를 개최하고 있다. ⓒ 부여군


이날 간담회는 국가하구생태복원 전국회의 주관으로 진행됐으며, 이학영 국회 부의장과 이개호·신정훈·박수현·황명선·서왕진 의원, 김영록 전남도지사, 박정현 부여군수 등 정치권과 지자체 관계자, 허재영 전 국가물관리위원장 등 민간 전문가들이 참석해 해수유통을 통한 기수역 복원 방안을 논의했다.

박정현 부여군수는 "하굿둑이 필요했던 시대는 이미 지났다"며 "이제는 후손들을 위해서라도 금강의 생태계를 해수유통으로 복원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이어 "예기치 못한 조기 대선 상황에서도 금강 하구 복원이 국정과제에 반드시 포함될 수 있도록 국회가 힘써 달라"고 당부했다.

금강은 백제 시대부터 교역과 문화의 중심지였으며, 민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에서는 장어, 참게 등 풍부한 어족자원이 형성돼 지역 경제의 기반이 됐다. 그러나 하굿둑이 설치된 이후 35년 동안 생태계가 크게 훼손됐다.

지난 7일 국회에서는 '국가하구 생태복원'을 차기 대선 국정과제로 채택하기 위한 민·관·정 정책간담회를 개최 후 단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부여군


희망은 있다. 2017년 낙동강 생태복원이 국정과제로 채택된 이후, 2019년부터 해수유통 실증 실험이 시작됐으며, 2022년부터는 전면 개방이 이뤄져 환경과 지역경제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하지만 금강의 해수유통 추진에는 전북 지역의 용수공급 문제가 가장 큰 걸림돌로 지적된다. 하류에 위치한 5곳의 취수장을 상류로 이전하는 데만 6000억원 이상이 소요되며, 이 같은 막대한 재정 부담은 지자체 단독으로 감당할 수 없다

박 군수는 지난해 11월 전남도청에서 열린 국가하구 생태복원 대토론회와 올해 2월 부여군에서 열린 하구복원법 제정 토론회에서도 국가 차원의 추진 필요성을 꾸준히 강조해왔다.

한편, 부여군과 국가하구생태복원 전국회의는 이번 간담회를 계기로 차기 정부 국정과제 채택과 관련 법률 제정을 위한 입법토론회 개최를 추진할 계획이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