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객장에서 트레이더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 연합뉴스
[프라임경제] 뉴욕증시가 관세협상을 주시하며 혼조세를 보였다. 이번주 실적, 경기지표 발표 등 다양한 이벤트가 있는 점도 투자자들의 관망심리를 자극했다.
현지시간으로 28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30산업 평균 지수는 전장보다 114.09p(0.28%) 상승한 4만227.59를 기록했다.
대형주 중심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3.54p(0.06%) 뛴 5528.75에 마감했다. 기술주 중심 나스닥 지수는 16.81p(-0.10%) 내린 1만7366.13에 장을 마쳤다.
이날 시장은 미국의 관세 협상을 주시했다.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은 CNBC와의 인터뷰에서 "중국과 다방면으로 접촉 중"이라고 언급했다. 실제 한 언론사는 지난 주말 중국 측 고위 인사가 수행원과 함께 미국 재무부 건물에 출입한 것을 포착하기도 했다.
다만 중국 정부는 여전히 미국과 그 어떤 대화도 없다며 선을 긋고 있다. 베센트 재무장관은 같은 인터뷰에서 "이제 긴장 완화는 중국에 달렸다"며 미"국은 당장 갈등을 부추길 의도가 없다"고 설명했다.
더불어 조만간 인도와 협상 타결이 가능해 보인다고 전망했다.
투자자들은 다양한 이벤트를 앞두고 관망세를 유지했다. 이번주 주요 기술기업들의 실적 발표와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 및 고용보고서 등 주요 경제지표가 발표 등 다양한 이벤트가 있따른다.
엔비디아는 중국 기업인 화웨이가 엔비디아의 제품 대체를 목표로 한 고성능 AI 칩 개발에 성공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2.05% 하락했다. 다만 장중 5% 가까이 하락했던 것에 비해 종가는 낙폭을 상당분 줄였다.
여타 매그니피센트7(M7)은 보합권 흐름을 보였다. 아마존(-0.68%) 알파벳(-0.87%), 마이크로소프트(-0.18%) 등은 소폭 하락했고, 애플(0.41%), 메타(0.45%), 테슬라(0.33%) 등이 소폭 상승 마감했다.
주요 투자은행(IB)이 투자의견을 상향한 보잉은 2.44% 올랐다. 스포츠웨어 업체 온 홀딩스 역시 같은 사유로 3.51% 상승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유틸리티와 부동산, 그리고 에너지 섹터는 견조한 흐름을 보였다. IT와 경기소비재는 각각 0.30%, 0.09%씩 약세를 보였다. 주요 소비재 기업들이 관세 영향으로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필수소비재 섹터도 약보합세를 나타냈다.
국채금리는 하락세를 이어갔다. 경기 동향을 잘 반영하는 10년물은 전일비 3bp 내린 4.21%로 마감했다. 정책금리 전망에 민감한 2년물은 5bp 하락한 3.69%를 기록했다.
달러는 다시 급락했다 .주요6개국 통화대비 달러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0.54% 내린 98.93pt를 가리켰다.
국제유가 역시 지지부진한 미·중 관세 협상에 하락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6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 거래일 대비 0.97달러(-1.54%) 밀린 배럴당 62.05달러에 마감했다. 런던 국제선물거래소(ICE)에서 6월물 브렌트유도 전장 대비 1.01달러(-1.51%) 떨어진 배럴당 65.86달러에 거래를 끝냈다.
유럽증시는 일제히 상승했다.
프랑스 파리 증시 CAC 40 지수는 전일 대비 0.50% 오른 7573.76에 거래를 마감했다. 영국 증시 FTSE 100 지수는 0.02% 뛴 8417.34에 거래를 마쳤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지수는 전일대비 0.13% 늘어난 2만2271.67에 거래를 마감했다.
범유럽 지수인 유로 Stoxx50 지수는 전장 대비 0.32% 붙은 5170.49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