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정부가 인공지능(AI) 분야에 배정된 1조8000억원 규모의 추경예산안 가운데 80% 이상을 그래픽처리장치(GPU) 확보에 쓰기로 했다. 올해 중으로 첨단 GPU 1만장을 확보해 AI 컴퓨팅 인프라를 확충하고, 이를 바탕으로 세계적 수준의 AI 모델 개발에 나선다는 구상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18일 국무회의에서 1조8000억원 규모의 AI 분야 추경예산안이 의결됨에 따라 '국가 AI 역량 강화 방안' 후속 조치를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앞서 지난 2월 중국 AI '딥시크' 여파 등을 계기로 AI 컴퓨팅 인프라를 확충하고 차세대 AI 모델을 개발하는 내용 등을 담은 국가 AI 역량 강화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우선 AI 컴퓨팅 인프라를 조속히 확충하기 위해 1조4600억원을 지원, 첨단 GPU 1만장을 연내 확보하기로 했다.
또 시급한 국내 AI 컴퓨팅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1723억원을 투입해 민간이 보유한 GPU 2600장분을 추가 임차·활용하는 방안도 지원한다.
국산 AI 반도체의 조기 상용화를 지원하는 실증사업도 확대한다.
이번 추경을 통해 높은 잠재력을 가진 국내 AI 반도체 기업이 골든 타임 내 NPU를 상용화할 수 있도록 직접 지원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대규모 AI 컴퓨팅 상용서비스에 최적화된 국산 NPU 실증 인프라를 구축하고, 온디바이스 AI, 해외 실증 등 신시장 개척을 위한 실증 지원도 확대한다.
특히 글로벌 수준의 AI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AI 정예팀을 선정, 집중 지원하는 일명 '월드 베스트 LLM(거대언어모델) 프로젝트'도 본격 추진한다.
과기정통부는 이 프로젝트에 1936억원을 투입, 실력 있는 국내 AI 기업으로 구성된 정예팀을 선정한 뒤 최대 3년간 GPU 등 필요한 자원을 집중 지원해 '한국형 챗GPT'를 만들 계획이다.
이밖에도 세계 최고 수준의 AI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글로벌 AI 챌린지'를 개최하고, 해외 최고급 AI 연구자를 국내에 유치할 경우 3년 동안 최대 연 20억원을 지원하는 신규 프로젝트도 추진하기로 했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AI 주도권을 놓고 촌각을 다투는 글로벌 경쟁 속에서 이번 추경은 매우 시의적절하며 중대한 결정"이며 "추진 과제를 철저히 준비해 AI G3 도약을 위한 기반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