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美 관세 유예에 국내증시 '활짝'…코스피·코스닥 '매수 사이드카' 발동

업종 대부분 '상승'…원·달러 환율 안정세 전일 比 27.7원 내린1456.4원

박진우 기자 | pjw19786@newsprime.co.kr | 2025.04.10 17:19:13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자 국내증시가 모처럼 활짝폈다. ⓒ 픽사베이


[프라임경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자 국내증시가 모처럼 활짝폈다. 코스피와 코스닥 지수에 '매수 사이드카'가 발동되는 등 불기둥 장세를 보였다.

10일 코스피 지수는 전장 2293.70 대비 151.36p(6.60%) 폭등한 2445.06에 장을 마쳤다. 지수는 전일 대비 4.42% 상승한 2395.13에 장을 열었다. 장 초반부터 강한 매수세가 몰리면서 오전 9시6분께 매수 사이드카가 발동되기도 했다.

사이드카란 시장 상황이 급변할 경우 프로그램 매매 호가를 일시적으로 제한함으로써 프로그램 매매가 코스피 시장에 미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제도다.

사이드카는 코스피200 선물 가격이 전일 종가 대비 5% 이상 변동한 시세로 1분간 지속될 때 발동된다. 매수 사이드카 발동은 지난해 8월6일 이후 8개월여 만이다.

전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정책 유예를 발표하며 코스피는 급등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을 제외한 다른 교역국에 대한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겠다고 발표했다. 다만, 중국에 대한 관세는 125%로 높혔다.

이에 외국인이 9거래일 만에 순매수로 돌아섰다. 외국인은 3286억원을 사들였다. 기관 역시 6870억 매수 우위를 보였으며, 개인은 1조871억원을 팔아치웠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모두 상승했다.

시총 1위 삼성전자(6.42%), SK하이닉스(11.03%), LG에너지솔루션(11.31%), 삼성바이오로직스(2.72%), 현대차(5.06%), 기아(5.25%), 셀트리온(6.28%), 한화에어로스페이스(7.09%), KB금융(7.05%), 네이버(3.96%) 등이 일제히 빨간불을 켰다.

코스닥 지수는 전장 643.39 대비 38.40p(5.97%) 급등한 681.79  마쳤다. 코스닥 역시 장중 강세를 보이며 오전 10시46분께 매수 사이드카가 발동됐다. 

투자자별로는 기관과 외국인이 각각 2011억원, 1075억원을 순매수 했으며, 개인은 2995억원을 순매도 했다.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별로 살펴보면 HLB(-0.19%)를 제외하고 모든 종목이 뛰었다.

시총 1위 알테오젠(5.61%)을 비롯, 에코프로비엠(9.29%), 에코프로(9.62%), 레인보우로보틱스(7.02%), 휴젤(7.75%), 클래시스(11.65%), 삼천당제약(6.97%), 파마리서치(8.57%), 리가켐바이오(-1.06%) 등이다.

환율 역시 안정세를 찾았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장보다  27.7원 내린 1456.4에 마감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급락 과정에서 상호관세 우려로 크게 하락했던 업종이 일제히 크게 반등했고, 중국 견제 움직임이 지속됨에 따라 반사 수혜 기대감이 유입된 이차전지, 조선 등의 오름폭도 컸다"며 "다만 당분간 협상 과정에서 나오는 노이즈에 따라 상·하방 변동성 확대는 불가피하다"고 분석했다.

이재원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상호관세 유예 조치로 관세 노이즈가 경감됐으나, 여전히 자동차와 철강에 대한 25% 관세는 물론 10% 보편 관세 등은 지속되고 있다"며 "오늘 밤 미국의 소비자 물가 발표가 예정된 상황으로, 트럼프 풋에 이은 파월 풋이 가능할지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다각화된소비자서비스(-0.19%)를 제외하고 전 업종이 상승했다.

전기장비(12.99%), 전기제품(10.40%), 무역회사와판매업체(10.31%), 디스플레이패널(10.20%), 화학(8.79%), 조선(8.30%), 전자장비와기기(7.95%), 해운사(7.70%), 반도체와반도체장비(7.67%), 에너지장비및서비스(7.51%) 등이다.

이날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의 거래대금은 각각 11조281억원, 5조9478억원이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