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충북 청주시는 2026년 노인 의료‧돌봄 통합지원(기술지원형) 사업 전면 시행에 앞서 4월부터 시범 운영을 추진한다고 2일 밝혔다. 이 사업은 노화, 질환 등으로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 병원이나 시설이 아닌 살던 곳에서 계속 거주할 수 있도록 보건의료, 생활지원, 요양, 주거 등 다양한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지원한다.
청주시는 보건복지부 시범사업 지역으로 선정돼, 4월부터 흥덕구와 청원구 일부 지역에서 사업을 우선 시행하고, 하반기부터는 시 전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번 사업은 75세 이상 노인 중 장기요양재가급여자, 급성기 요양병원 퇴원환자,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중점군, 장기요양등급판정 대기자 및 등급외자(A·B) 등을 우선 지원대상으로 한다.
대상자는 선별조사와 심화방문조사, 통합지원 회의 등을 거쳐 돌봄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주요 서비스로는 병원 퇴원 어르신 돌봄서비스, 찾아가는 이동목욕서비스, 병원동행서비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돌봄서비스, 집으로 의사가 찾아오는 장기요양재택의료서비스, 주거환경개선서비스, 행복세탁서비스, 방문건강관리사업 등이 포함된다.
시는 시범사업을 통해 기존의 분절적으로 운영되던 돌봄서비스를 민·관 협력 네트워크를 통해 통합하는 체계를 마련할 방침이다. 또한, 돌봄이 필요한 대상자의 개별적 욕구에 맞춘 재가의료·돌봄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연계하여 청주형 노인 통합돌봄 체계를 강화할 예정이다.
청주시 관계자는 "앞으로 읍면동에 통합지원 창구를 활성화하고 보건소와 건강보험공단 등에서 통합안내창구를 운영해 체계적으로 대상자를 관리할 것"이라며, "의사협회, 병원 등 관련 단체와 협력하여 어르신들이 행복한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청주형 노인 돌봄 모델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