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시민단체 "황령산 시민의 손으로 지킨다"

6일 오후 부산 지역 220여 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황령산 지키기 범시민운동본부' 발족

박비주안 기자 | lottegiants20@gmail.com | 2025.03.07 18:02:57

부산 시민단체는 6일 오후 '황령산 지키기 범시민운동본부'를 발족하고 난개발 저지를 외쳤다. ⓒ 황령산 지키기 범시민운동본부

[프라임경제] 부산 도심지의 대표 명산, 황령산을 지키기 위해 부산 지역 시민단체가 손을 모았다.

부산지역 220여 개 시민단체가 손을 잡고 6일 오후 '황령산 지키기 범시민운동본부'를 발족하고 황령산 전망대 사업 등 난개발 저지를 위한 활동을 본격화했다. 

운동본부 발족에 앞서 황령산 개발이 얼마나 시민과의 소통없이 진행되고 있는지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황령산 케이블카 설치 사업을 미리 알고 있던 시민은 15.2%에 불과했다. 온닥터TV와 바로미터여론조사연구소가 지난 2월 25~28일 부산시민 513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4.8%가 황령산 개발 계획을 사전에 인지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개발 반대 이유로는 자연환경(81.1%)과 경관(9.1%) 훼손을 꼽은 시민이 90.2%에 달했으며, 황령산 개발이 환경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응답도 86.9%를 차지했다.

개발에 찬성하는 시민들조차 85.4%가 '시민주도형 공공개발'을 원하며, 민간주도 개발을 지지한 응답자는 14.6%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이날 발족식에는 300여 명이 참석했으며, 공동대표로 혜총스님(부산불교연합 증명 대종사), 임영문 목사(전국기독교총연합 대표회장), 백대성 전 부산진구의회 의원, 정근 부산시민사회단체총연합 대표의장이 추대됐다.

운동본부는 발족 결의문을 통해 △황령산 난개발 반대 및 시민 참여 보장 △환경 보호 및 홍보 활동 강화 △쓰레기 되가져가기 실천 △시민 감시단 운영 등을 추진할 것을 선언했다.

함께 진행된 '부산시민정책토론회'에서는 개발의 절차적 정당성 문제도 제기됐다. ESG탄소중립연구원 이사장 이학춘 동아대 명예교수는 "황령산 케이블카 사업이 국민의 환경권을 침해할 가능성이 있다"며 "절차적 정당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개발 수익이 특정 기업에 집중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공영개발 방식으로 시민이 직접 투자하고 수익을 공유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도 설명했다.

범시민운동본부는 앞으로 황령산 케이블카 승강장 예정지인 부산진구 전포동에서 황령산 봉수대까지 인간 띠 잇기 행사를 통해 '황령산 난개발 저지'에 나서겠다고 선언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