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3만6624달러를 기록했다. ⓒ 연합뉴스
[프라임경제] 지난해 우리나라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3만6600달러를 넘어서며 지난해에 이어 일본과 대만 수준을 뛰어넘었다. 지난해 4분기와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잠정치는 속보치와 같은 0.1%, 2.0%를 유지했다.
한국은행(이하 한은)이 5일 발표한 '2024년 4분기 및 연간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GNI는 3만6624달러로 전년 3만6194달러 대비 1.2% 늘었다. 원화 기준으로는 4995만5000원으로 5.7% 증가했다.
미 달러와 원화 기준의 차이가 큰 배경으로는 지난해 원·달러 환율 상승(원화 절하) 등 영향으로 달러 환산 기준 성장률이 원화 기준보다 뚜렷하게 낮았기 때문이다.
1인당 GNI는 한 해 동안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총소득을 인구로 나눈 것으로 국민 생활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대표 지표다.
우리나라 1인당 GNI는 지난 2014년에 3만798달러를 기록하며 처음 3만달러 시대를 열었다. 이후 2021년 3만7898달러를 기록하며 몸집을 키웠다. 그러나 2022년 3만5000달러로 다시 내려앉았다가 2023년 3만6194달러를 기록, 지난해 역시 3만6000달러대에 머물고 있다.
강창구 한은 경제통계2국 국민소득부장은 "지난해 1인당 GNI 증가율이 1.2%로 나왔으나 지난해 명목 GNI 증가율은 5.8%였다"며 "지난해 원·달러 환율이 평균 환율 기준으로 4.5% 상승하면서 원화 가치가 하락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우리나라 1인당 GNI 규모는 주요국 내 6위권이다. 작년에 이어 일본과 대만 수준을 뛰어넘었다.
강 부장은 "인구 5000만명 이상 국가만 비교하면 우리나라보다 1인당 GNI 규모가 큰 나라는 미국, 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라며 "아직 이탈리아의 1인당 GNI 발표 자료가 없지만, 국제통화기금(IMF) 전망치를 보면 3만8500달러 부근"이라고 말했다.
GDP디플레이터는 전년 대비 4.1% 상승했다. GDP디플레이터는 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눈 값으로, 수출입 등까지 포함한 전반적 물가 수준이 반영된 거시경제지표다. 지난 1998년(4.5%) 이후 최고치다.
지난해 연간 실질 GDP 성장률 잠정치는 지난 1월 공개된 속보치와 같은 2.0%로 집계됐다. 4분기 성장률도 전분기 대비 0.1%로 변화가 없었다.
다만 속보치에 포함되지 못한 작년 12월 경제 통계가 반영되면서, 4분기 부문별 성장률이 수정됐다.
수출(0.8%)과 정부소비(0.7%), 수입(0.1%)은 속보치보다 0.5%p(포인트), 0.2%p, 0.2%p 높아졌다. 다만 건설투자(-4.5%)와 설비투자(1.2%)는 각 1.3%p, 0.4%p 낮아졌다.
업종별 성장률은 서비스업 0.4%, 제조업 0.2%, 농림어업 -3.4%, 건설업 -4.1% 등이다. 지난해 총저축률은 35.1%로 전년 대비 1.6%p 상승했다. 지난 2021년(36.4%) 이후 최고치다.
올해 1~2월 경기 상황과 관련해 강 부장은 "최근 신용카드 실적이나 통관 수출 등의 일부 기초 자료를 보면 전반적으로 부진한 모습"이라며 "1월 수출이 설 명절로 인해 영업일수가 줄어 큰 폭의 마이너스를 냈고, 2월 수출은 소폭의 플러스를 내서 1~2월을 합칠 때 마이너스"라고 말했다.
다만 "일평균 수출로 보면 1~2월 평균이 약간의 플러스"라면서 "여기에 정부의 개별소비세 인하 등 내수 활성화 조치, 상반기 재정 신속 집행, SOC 투자 확대 등의 노력이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여 앞선 조사국 전망(1분기 전기 대비 0.2% 성장)을 유지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