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대 금융지주가 금융당국의 주문에 맞춰 내부통제를 강화하고 이사회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이사회 재편을 위한 시동을 걸었다. ⓒ 연합뉴스
[프라임경제] 5대 금융지주 사외이사 70%가 다음달 주총을 앞두고 임기 만료에 들어갔다. 이에 금융당국은 '내부통제 강화'와 '경영진 견제 기능 제고'을 위한 사외이사 교체안에 팔을 걷어부치고 있다. 다만 인재풀 부족 등 구조적 제약과 '거수기' 논란 등으로 대대적 변화에는 한계가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어 장기적인 체계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금융지주(KB금융·신한금융·하나금융·우리금융·NH농협금융)의 사외이사 39명 중 다음달 임기가 만료되는 이사는 27명이다.
KB금융(105560)은 사외이사 7명 중 6명의 임기가 만료된다. 특히 이사회 의장인 권선주 전 IBK기업은행장을 비롯한 주요 인사가 교체 대상에 오르면서 후보추천위원회는 금융·경제 분야 전문성을 갖춘 인재 영입에 주력하고 있다. 차은영 이화여대 교수와 김선엽 이정회계법인 대표 등이 신임 후보로 거론되며 경영진 견제 기능 강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신한금융(055550)은 9명 중 7명의 사외이사가 임기 종료를 맞는다. 연임 제한은 없으나, 금융당국의 요구와 내부통제 강화 필요성에 따라 소폭 인사 교체가 진행될 전망이다. 구체적인 신임 후보군은 아직 공식 발표되지 않았으나, 업계에서는 경영진 견제와 투명성 제고를 위한 인사 교체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하나금융(086790)은 사외이사 9명 중 5명의 임기가 만료된다. 이사회 의장인 이정원 대표 역시 최장 임기를 채워 교체 대상에 오르면서 내부통제위원회 신설 등 거버넌스 개선 조치가 동시에 추진되고 있다. 신임 후보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미정이지만, 내부통제 강화와 경영 안정성을 중점으로 인재 영입이 진행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우리금융(316140)은 7명 중 5명의 사외이사가 임기 종료를 앞두고 있다. 지난해 부당대출 의혹 등 내부통제 부실 문제가 지적되면서, 신뢰 회복을 위한 인사 쇄신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최대 4명 교체가 예상되며, 신임 후보 중 최소 1명 이상은 준법감시 및 내부통제 분야 전문 인사로 선임할 것으로 보인다.
NH농협금융은 사외이사 6명 중 4명의 임기가 만료된다. 교체 폭은 상대적으로 제한적이나, 금융당국의 내부통제 강화 지침에 따라 일부 인선 작업이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인 신임 후보 명단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으나, 점진적인 구조조정을 통해 견제 기능 보완에 힘쓸 계획이다.
하지만 업계 내부에서는 이번 사외이사 교체가 단기적 이미지 개선에 그칠 위험이 있다는 우려를 보이고 있다. 금융업계 특성상 내부통제와 전문성을 겸비한 후보군이 부족한 데다, 후보 인력 간 중복, 겸직 금지 등 제도적 제약이 명망있는 인재 영입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지난해 사외이사들이 거의 만장일치로 찬성표를 던진 '거수기' 논란이 재점화되면서 단순한 인사 이동만으로는 내부통제 강화 효과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해 금융당국은 "이사회에 장기간 잔류한 사외이사가 경영진과 지나친 친소 관계를 형성할 위험이 있다"며 "정기적인 사외이사 교체와 함께 장기적인 거버넌스 개선 노력이 반드시 수반돼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도 "최근 금융지주의 지배구조 개선 요구와 내부통제 강화 지침에 따라, 지속 가능한 견제 기능 확보를 위해 후보군 관리와 이사회 교육 강화가 필요하다"며 단기적 인사 교체에 머무르지 않는 거버넌스 개선 체계 마련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금융연수원 등 관련 기관과의 업무협약 체결 사례에서 보듯 체계적인 후보 인선과 동시에 교육 및 평가 시스템 구축이 병행돼야 한다는 점이 업계 전반의 공감대로 형성되고 있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금융당국의 요구에도 구조적 제약과 인재풀 부족 문제로 인해 이번 교체가 기대만큼 대대적으로 이뤄지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향후 단기적 교체보다는 장기적인 거버넌스 개선 노력이 뒷받침돼야 진정한 내부통제 강화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