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문 닫은 저축은행 영업소가 18곳으로 나타났다. ⓒ 연합뉴스
[프라임경제] 지난해 저축은행 영업소 18곳이 폐쇄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신규 개설된 영업소는 한 곳도 없어 저축은행들의 영업망 축소가 가속화되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3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지난해 폐쇄된 저축은행 영업소는 총 18곳으로, 지점 13곳과 출장소 5곳이 문을 닫았다. 같은 기간 신규 개설된 영업소는 단 한 곳도 없었다.
특히 SBI, OK, 신한, 페퍼저축은행 등 대형 저축은행들도 영업소 폐쇄를 단행하며 업계 구조조정이 본격화되고 있다. 이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이 확대되고 대출 규제가 강화되면서 저축은행들의 실적이 악화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3분기 기준 전체 저축은행에서 고정이하로 분류된 여신은 총 10조8518억원으로 전년 동기 6조9291억원 대비 50% 이상 확대된 상태다.
디지털 금융 확산 또한 영업소 축소의 주요 요인 중 하나로 작용했다. 최근 모바일·인터넷 뱅킹 이용자가 증가하면서 오프라인 점포 운영의 필요성이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금융감독원 통계에 따르면 국내 79개 저축은행 점포수는 지난 2015년(326개)까지 지속 증가세를 보이다가 2016년부터 감소세로 접어들었다. △2019년 305개 △2020년 304개 △2021년 294개 △2022년 283개 △2023년 276개에 이어 지난해 말 250개 수준까지 감소했을 것으로 추산된다.
저축은행들은 비용 절감과 효율성을 고려해 대면 점포를 줄이고 디지털 채널을 확장하는 방향으로 전략을 조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가 서민금융의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저축은행은 서민과 중소기업을 위한 금융기관으로, 지역 금융 공급을 위한 의무 대출 규제를 적용받고 있다. 대면 영업이 줄어들면 수도권 외 지역 취약계층이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기 어려워질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이다.
이 같은 우려 속에서 저축은행중앙회는 지난해 7월 영업소 폐쇄 가이드라인을 개정했다. 기존 1개월 전 사전 신고에서 2개월 전 신고로 기간을 연장하고, 폐쇄 사유를 명시한 검토서를 제출하도록 했다. 하지만 절차 강화에도 불구하고 영업소 폐쇄가 더욱 가속화되고 있어 실효성 논란이 일고 있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가이드라인이 영업소 폐쇄를 늦추는 효과는 있지만, 근본적으로 폐쇄를 막지는 못한다"며 "대출 규제와 건전성 관리 압박이 지속되는 한 영업망 축소는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도 저축은행 업계의 영업소 축소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당국의 리스크 관리 강화 요구 속에서 업계는 비용 절감과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해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다른 저축은행 관계자는 "비대면 금융 서비스 확대가 불가피한 상황이지만, 영업망 축소가 고객 불편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대체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며 "서민금융 역할을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책도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