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10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제5차 지표금리·단기금융 시장협의회'에서 2025년 지표금리 개혁 추진 계획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 한국은행
[프라임경제] 한국은행(이하 한은)과 정부가 내년부터 무위험 지표금리인 코파(KOFR) 확산 전략을 본격적으로 시행한다. 자율 스왑거래(IRS) 중 KOFR 비중은 내년 10%에서 오는 2030년 50%까지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한은은 10일 오전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한국예탁결제원, 한국거래소 등과 '제5차 지표금리·단기금융 시장 협의회'를 열고 이같은 방안을 논의했다.
지표금리는 금융거래의 결과로 지급하거나 교환해야 할 금전이나 금융상품의 가치를 결정할 때 준거가 되는 금리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금융회사의 단기 자금조달 비용을 나타내는 금리가 사용된다.
현재 이자율 파생상품 거래와 변동금리 자금조달은 대부분 양도성 예금증서(CD) 수익률을 기반으로 한다. 다만 CD수익률은 실거래보다 전문가 판단에 의존한다는 점에서 시장 상황을 효율적으로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해외에서는 글로벌 지표금리 개혁을 거치면서 실거래 기반의 무위험지표금리(RFR)가 파생상품 지표금리로 자리잡았다. 우리나라는 2021년 한국무위험지표금리(KOFR)가 도입됐지만 확산이 더딘 상황이다.
한은과 관계기관은 파생상품시장에서 KOFR 비중을 확대하기 위해 내년부터 새롭게 체결되는 이자율 스와프 파생상품 거래의 일정 부분을 KOFR 기반으로 체결하기로 합의했다. 확산 계획은 내년 7월부터 시행한다.
내년에는 이자율 스왑시장 거래금액이 큰 약 29개 금융회사가 우선 참여한다. 이들은 이자율 스와프 거래의 10% 이상을 KOFR 기반으로 체결할 계획이다. KOFR 비중을 점차 높이고 금융회사 참여 범위도 넓혀 오는 2030년까지 해당 비중을 50% 이상으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채권시장에서도 정책금융기관과 은행권이 내년부터 변동금리채권(FRN) 발행을 통한 자금 조달액 10% 이상을 KOFR 기반 FRN으로 조달할 계획이다. 연간 KOFR FRN 발행액 목표치는 내년 3조원, 중장기적으로 4조~5조원 이상이다.
아울러 정부와 한은 등 관계기관은 KOFR 확산을 위한 지원 정책도 추진한다. 시장 참여자들이 KOFR-OIS 거래에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중앙청산 인프라를 구축한다. 현재 한국거래소를 중심으로 KOFR-OIS 중앙청산 시스템을 개발 중이다. 내년 10월 중 서비스 개시 목표다.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회의에서 "KORF 중심으로의 전환을 차질 없이 추진해 더 효율적인 지표금리 체계를 구축해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상대 한은 부총재는 "KOFR로의 지표금리 전환이 속도감 있게 진행될 수 있도록 금융시장 참가자들과 더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