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는 119.02로 지난달 대비 0.1% 감소했다. ⓒ 연합뉴스
[프라임경제] 지난달 유가 상승으로 공산품 가격이 올랐으나, 배추 등 주요 채소 가격이 큰 폭으로 떨어지면서 생산자물가는 석 달째 하락세를 지속했다.
20일 한국은행(이하 한은)이 발표한 '10월 생산자물가지수(잠정)'에 따르면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는 119.02로 전월 대비 0.1% 하락했다. 지난 8월 0.2% 하락한 뒤 9월에 이어 3개월째 내림세다.
생산자물가는 소비재·자본재뿐 아니라 기업 생산 과정에 투입되는 원재료·중간재 등까지 측정한 물가 지수다. 생산자물가는 일정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지표로 간주한다.
품목별로 보면 농림수산품은 농산물(-10.5%)과 축산물(-9.1%)가 큰 폭 하락하며 전월 대비 8.7% 하락했다. 수산물은 2.4% 올랐다.
전월 대비 가격 하락률이 컸던 품목은 △배추(-46.1%) △시금치(-62.1%) △돼지고기(-16.7%) △닭고기(-7.8%) 등이다. △우럭(+30%) △넙치(+7.2%) 등 수산물 품목들은 가격이 올랐다.
공산품은 석탄·석유제품(+2%)과 음식료품(+0.4%) 등이 올라 전월 대비 0.2% 상승했다. 국제유가가 전월 대비 오른 영향이다.
전력·가스·수도 및 폐기물의 경우 산업용전력(+2.7%)과 증기(+2.3%) 등이 올라 전월 대비 0.8% 상승했다. 서비스는 음식점·숙박서비스 (+0.5%)와 부동산서비스(+0.2%) 등을 중심으로 전월 대비 0.2% 올랐다.
특수 분류별로 보면 식료품은 전월 대비 4.1% 하락했다. 신선식품도 14.2% 내려갔다. 석유제품이 포함된 에너지는 0.9%, IT(정보기술)는 0.1% 상승했다. 식료품·에너지 이외 지수는 0.1% 올랐다.
이문희 한은 경제통계국 물가통계팀장은 "국제유가 상승의 영향으로 공산품은 석탄 및 석유 제품을 중심으로 많이 올랐다"며 "그동안 농림수산품 가격이 높았던 영향으로 인해 공산품 중 음식료품 등의 가격도 제조 원가 비용 측면에서 상승 요인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가을철 배추 출하가 확대되고 작황이 회복되면서 이번달 배추 가격이 하락했고 시금치 등 채소류의 생육이 회복되면서 비교적 큰 폭으로 하락했다"며 "축산물의 경우에도 돼지고기 등의 도축량이 늘면서 출하물 가격이 하락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물가변동의 파급과정을 파악하기 위해 수입품까지 포함해 가격 변동을 측정한 지난달 국내공급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0.1% 상승했다. 원재료(-2%)가 내렸지만 중간재(+0.4%) 최종재(+0.1%)가 올랐다.
국내 출하에 수출품까지 더한 총산출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0.2% 상승했다. 농림수산품(-8.4%)이 내렸지만 공산품(+0.6%) 등이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