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가계부채를 잡기 위한 금융당국의 관리 압박에도 제2금융권을 중심으로 10월 가계대출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은 2금융권에 대해서도 은행권과 마찬가지로 가계부채 관리계획을 제출받기로 했다.
금융위원회는 11일 권대영 사무처장 주재로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열고, 지난달 가계부채 동향을 점검·평가하고 향후 대응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행정안전부,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등 관계기관과 은행연합회 및 제2금융권 협회 그리고 일부 은행 등 금융회사가 참석했다.
지난달 모든 금융권 가계대출은 총 6조6000억원 증가하며 전월 대비 증가폭이 확대됐다.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폭은 △8월 9조7000억원에서 △9월 5조3000억원으로 줄었으나, 지난달 다시 상승 전환했다.
업권별로 은행권 가계대출은 3조9000억원 증가, 전월 5조6000억원 대비 증가폭이 축소됐다. 은행권의 자율관리 강화로 주담대 증가폭이 전월 6조1000억원에서 3조6000억원으로 감소한 데 따른 것이다.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전월 대비 2조7000억원 증가하면서 가계대출 확대를 견인했다. 은행권의 가계대출 강화에 따라 대출 수요가 2금융권으로 옮겨가는 '풍선효과'가 발생한 것이다.
가계대출 증가의 가장 큰 원인이었던 주택담보대출(이하 주담대)도 비슷한 흐름이다. 주담대는 5조5000억원 증가하며 전월6조8000억원 대비 증가폭이 축소됐다.
은행권 주담대 증가폭이 6조1000억원에서 3조6000억원으로 축소세를 이어갔다. 다만 제2금융권 주담대(1조9000억원)는 집단대출 위주로 증가했으며, 기타대출(8000억원)은 카드론, 보험계약대출 위주로 증가했다.
업권별로는 △상호금융권 9000억원 △여전사 9000억원 △보험 5000억원 △저축은행 4000억원 순으로 증가했다.
금융당국은 올해 두달 남은 기간에도 강화된 가계부채 관리기조를 유지하겠다는 방침이다. 또한 필요시 증가세가 확대된 업권 및 금융회사 등을 중심으로 가계대출 취급실태 등 점검하며 적절한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권 사무처장은 "부동산 시장과 거시경제 안정을 위해 올해 남은 기간 뿐만 아니라 당분간은 자율적인 관리 기조를 유지할 필요가 크다"며 "이러한 점에서 현재 은행권은 주간 단위로 볼 때에도 상당 부분 안정화 추세가 확인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연초 수립한 경영목표를 초과해 가계대출을 취급한 은행의 경우 반드시 경영목표를 준수할 수 있도록 관리에 만전을 기해주기를 바란다"며 강화된 대출관리 기조를 이어가 줄 것을 은행권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