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상목 부총기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한국수출입은행에서 열린 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최 부총리, 김병환 금융위원장. ⓒ 한국은행
[프라임경제] "관계기관 24시간 합동점검체계를 금융·외환시장까지 확대·개편하고, 시장 변동성이 지나치게 확대될 때는 상황별 대응계획(컨틴전시 플랜)에 따라 적기 대응하겠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8일 한국수출입은행에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김병환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과 거시경제금융회의를 개최하고 이같이 밝혔다.
이날 회의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금리 인하 결정과 최근 미국 대선 결과에 따른 국내외 금융·외환시장 영향을 점검하기 위해 마련됐다.
앞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정책금리 목표 범위를 4.75∼5.0%에서 4.50∼4.75%로 0.25%p(포인트) 낮췄다. 지난 9월에 이어 2회 연속 금리를 내린 것으로, 이에 따라 한국(3.25%)과 미국의 금리 차는 1.5%p로 줄었다.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은 기자회견을 통해 통화정책이 보다 중립적 기조로 가는 경로에 있다며 완화적 통화정책이 지속될 것임을 시사했다.
최 부총리는 미 대선과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와 관련해 "오늘 새벽 글로벌 금융시장은 이번 회의 결과가 예상된 수준으로 받아들여지고 전날 미 대선 결과의 파급 영향이 완화되면서 대체로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고 진단했다.
다만 최 부총리는 "중동과 우크라이나 등 지정학적 리스크와 함께 향후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으로 세계경제 성장과 인플레이션 흐름, 주요국 통화정책 기조와 관련해 불확실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상존한다"며 "정부는 각별한 경각심을 가지고 관계기관이 긴밀히 공조해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가계 부채, 부동산시장·PF(프로젝트파이낸싱) 등 잠재 리스크도 철저히 관리하겠다는 방침이다.
최 부총리는 "8.8 부동산 공급 대책 추진에 속도를 내면서 주택시장이 과열되거나 가계부채가 빠르게 증가할 경우 추가적 관리 수단을 적기에 과감하게 시행하겠다"며 "부동산PF의 경우, 2차 사업성 평가를 11월 중 마무리하고 12월부터 상시평가 체계로 전환해 질서 있는 연착륙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통상환경 변화 가능성에 대응해 주요 통상 현안에 대한 상황별 대응계획을 마련하고 11월 중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가동해 우리 산업의 근본적인 경쟁력도 강화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