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인터뷰] 홍승표 우리마인즈 대표 "반려동물도 사람 상조처럼"

30년 보험업계 활동 노하우·역량 집결...반려동물 상조 인식 제고 앞장

배예진 기자 | byj2@newsprime.co.kr | 2024.06.05 17:29:21
[프라임경제] "일상에서 일생까지, 사람 상조처럼 반려동물도."

30년 넘게 보험회사에서 활동했던 홍승표 우리마인즈 대표의 강조다.

홍 대표는 종량제 봉투에 버려지는 반려동물의 안타까운 마지막을 직시하면서 반려동물에 대한 인식 제고에 앞장서기 위해 유수 대기업의 임원과 대표이사 자리를 내려놓고 스타트업 '우리마인즈'에 합류했다. 

홍 대표의 우리마인즈 경영 철학에서는 사랑하는 반려동물의 마지막을 더 아름답게 준비할 수 있는 진심이 담겨 있었다. 

지난 3일 홍승표 우리마인즈 대표를 직접 만나 그가 말하는 '반려동물 상조'의 본질과 향후 비전을 들어봤다. 

홍승표 우리마인즈 대표이사는 보험회사에서 30여년간 재직한 경험을 바탕으로 우리마인즈에 입사해 반려동물 상조 사업을 추진했다. =추민선 기자


블루오션 '반려동물 상조'…참고할 곳도 없었다

홍 대표는 2021년 10월부터 우리마인즈의 반려동물 상조 사업에 참여했다. 그는 사업 초기 동종업계의 벤치마킹이 필요했지만, 당시는 반려동물보다 반려인의 편의성 위주인 시장이었다.

2022년도에 그가 다시 시장을 내다봤을 땐, 이미 반려동물 상조 회사들은 폐업한 상황이었다.

장례·장묘업체 관계자들에 따르면 "현재까지도 반려동물 상조 문화는 이른 시기"라고 입을 모았다. 전국 50여개 합법 장묘업체·반려동물 장례로 수익을 내는 곳은 몇 군데에 불과해 아직 영세한 수준이다.

홍 대표는 "아마 높은 상조 가입비와 사람들의 인식 정도가 낮기 때문"이라며 "2026~2028년이 되면 사회 인식도 재고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블루오션에 뛰어든 홍승표 대표는 2023년에도 꾸준히 사업을 준비했다. 그는 "사람 상조 문화도 사실 2010년부터 시작해, 2016년이 돼서야 자리 잡았다"며 반려동물 상조 문화도 머지않아 더 성장할 것을 전망했다.

반려동물 사육 인구 550만 시대, 다가올 이별에 준비하자

홍승표 대표는 과거 모친이 키우던 고양이를 회상하며 반려동물 상조의 필요성을 느꼈다고 설명했다.

그는 "펫로스 증후군이 생각보다 크다. 50년이 지났는데도 고양이의 모습이 아른거린다"며 "국내 반려동물 사체 처리법만 봐도 반려동물 상조 문화 인식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 반려동물 사체를 매장하는 것은 불법이다. 동물병원에서 의료폐기물로 처리하거나 일반종량제 봉투에 담아 배출해야 한다. 하지만 과반수가 불법으로 매장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홍 대표는 사람뿐 아니라 우리 주변의 반려동물도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는 점을 주목했다. 국내 반려동물 사육 가구가 550만을 넘어서면서 일명 '펫팸족'이 국민의 4분의 1을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홍승표 대표는 "이렇게 많은 반려동물도 머지않아 이별의 순간이 찾아올 테고, 사람처럼 반려동물도 그에 대한 준비를 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홍승표 우리마인즈 대표이사. =추민선 기자


진입장벽 허물기…월 납입 부담↓ 혜택↑

홍승표 대표는 반려동물 상조 사업을 준비하면서 '어떻게 하면 고객들의 진입장벽을 낮출 수 있을지' 고민했다고 한다.

가장 큰 벽은 '가격'이었다. 그는 "월 납입금을 줄여 부담을 낮추고, 페이백 서비스를 도입했다"며 "국내 79개의 (사람)상조 회사 중 미사용 품목에 대해 전액 페이백을 해주는 업체는 단 1~2곳에 불과"하다고 전했다.

홍 대표는 "반려동물 가구의 과반수가 병원비 마련을 위해 자금 운용을 하고 있다"며 "이미 높은 병원비 부담에 상조까지 부담을 줄 수 없다"고 설명했다.

뿐만 아니라 제휴업체를 통해 소변검사 키트를 제공하고, 개 물림 사고 배상책임보장보험(한도 500만원)도 상품에 추가해 예기치 못한 상황에도 고객들이 대응할 수 있도록 했다.

우리마인즈와 연계된 전국의 장묘업체 9곳과 펫 택시회사 7개는 모두 홍승표 대표가 직접 전국을 돌아다니며 엄선했다고 한다. 고객들이 추모하는 공간의 시설과 규모를 확인했다.

또 반려동물과 아름다운 이별을 위해 사후 수습 키트도 추가로 증정한다. 키트 속 상자의 재질과 화병의 디자인 모두 우리마인즈의 손길로 제작됐다.

반려동물 상조 문화 발판 마련…부가서비스 분야 확대

앞으로의 행보에 관해 우리마인즈가 해야할 일은 상조 문화 시장에 '반려동물을 인식시키는 것'이 먼저라고 답했다. 홍 대표는 "단독으로 우뚝 서기보다, 함께 반려동물 상조 문화를 만들어가는 상부상조가 필요한 때"라고 말했다.

그는 "가입자 수가 증가하게 된다면, 고객에게 돌아가는 혜택의 규모 역시도 커질 것"이라며 "사람 상조와 동일하게 상품을 기획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제휴 업체 확대 계획에 관한 질문에는 "B2B 상품 개발을 통해 상조뿐만 아니라, 건강·입양·놀이·식품까지 부가서비스 분야를 확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지난해 한시적으로 '유기·유실 동물 문화 개선' 캠페인을 진행한 것처럼, 올해도 관련 캠페인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홍승표 우리마인즈 대표이사 / 삼성화재 상무 / 더케이예다함상조 대표 / 보람상조개발 대표이사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