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극초저가' 알리·테무 공습..정부, 이커머스 실태조사 나선다

이커머스 시장구조·경쟁현황 분석...연말까지 '정책보고서' 발간

추민선 기자 | cms@newsprime.co.kr | 2024.03.26 08:59:15
[프라임경제]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쉬인 등 중국 이커머스 플랫폼이 국내 시장에서 덩치를 키우는 가운데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가 이커머스 실태 조사에 나선다. 

공정위는 26일부터 이커머스 시장구조와 경제현황 등을 분석하기 위해 시장 실태조사에 나선다고 밝혔다. 공정위 등 관계부처 합동으로 '해외 온라인플랫폼 소비자보호 종합대책'을 발표한 지 12일 만이다. 

공정위는 이커머스 시장이 국민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돼 있고 시장·사업환경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어 심층적인 분석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특히 해외 직구가 대중화되면서 글로벌 이커머스 기업들이 국내에 진출하면서, 거래 관행의 공정성과 소비자피해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조사 범위에는 기존의 네이버, 쿠팡 등 온라인 플랫폼은 물론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등 최근 쟁점이 되는 쇼핑 영역까지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레이 장 알리익스프레스 코리아 한국대표. © 연합뉴스


공정위는 이커머스 시장 실태조사 전담팀을 구성해 자체 연구활동 수행·분석·사업자 대상 서면실태조사 등을 통해 이커머스 시장구조와 현황·거래관계 등을 심층 분석한다. 이후 올해 연말까지 정책보고서로 발간해 공개할 예정이다.

앞서 지난 7일 정부는 해외직구 전반에 대한 종합적 대응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해외직구 종합대책 TF'도 구성키로 했다. TF팀장은 이정원 국무조정실 국무2차장(차관급)이 맡는다.

최근 국내 이커머스 시장은 해외 직구가 대중화되고 글로벌 이커머스 기업의 국내 진출이 활발해지고 있는 가운데 중국계 이커머스 기업인 알리, 테무, 쉬인 등이 국내 시장에서 급성장하고 있다.

실제 애플리케이션(앱) 시장 분석업체 와이즈앱·리테일·굿즈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국내 종합몰 앱 사용 순위에서 알리익스프레스 이용자 수는 818만명으로 쿠팡(3010만명)에 이어 2위, 테무는 581만명으로 4위를 차지했다. 약 1400만명에 이르는 이용자를 확보한 것이다.

2018년만 해도 분기별 1300억원 수준이었던 대(對)중국 직구 시장은 지난해 4분기 1조원을 돌파했으며 미국을 누르고 1위 국가로 자리잡았다.

알리는 막대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강력한 할인과 가격경쟁으로 국내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다. 알리는 국산 신선식품 세일 경쟁에도 뛰어들었다. 알리는 27일까지 1000억 페스타를 열어 한국 제품 전문관 K-베뉴 구매자를 대상으로 1000억 상당의 쇼핑 보조금을 지원하고 인기 상품을 선별해 높은 할인가로 선보인다. K베뉴에 입점한 한국 기업 및 브랜드의 판매 증대를 위해서다. 

특히 매일 오전 10시와 밤 10시에 특별 타임세일을 진행한다. 18일 타임세일에선 계란, 딸기, 바나나, 한우 등 신선식품이 10초만에 매진됐다. 1000원이라는 파격적인 가격 때문이다.

기존 시장 질서를 교란할 만한 파격적인 '극초저가' 전략과 함께 없는 게 없을 정도로 다양한 상품 구색도 비결로 꼽힌다. 소비자들이 중국 앱에서 상품을 고르는 재미에 빠져 헤어나지 못한다는 뜻을 담은 '알리지옥' '테무지옥'이라는 신조어마저 생겨나고 있다.

중국 플랫폼 기업들의 성장에 직격탄을 맞은 건 무엇보다 국내 소상공인들이다.

중국서 물건을 수입해 파는 경우 알리, 테무와 같은 상품을 팔더라도 관세·부가세와 안전 인증 등의 비용이 발생해 애초 가격 경쟁이 힘든 상황이다. 

중국 업체들의 이 같은 공격에 우리 정부도 긴급 대책 마련에 나섰다. 지난 14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네이버·쿠팡·지마켓·SSG·11번가 등 국내 주요 이커머스 기업 관계자들과 함께 긴급 간담회를 개최하고, 중국 이커머스 기업들의 공세가 우리나라 온라인 유통산업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했다. 

이에 정부는 최근 중국 플랫폼 기업에 국내법과 동일한 규제를 적용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실효성이 얼마나 있는지가 관건이다. 

업계 관계자는 "규제와 함께 해외 사업자가 국내 법을 따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국내 플랫폼 기업과 소상공인들이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도 동반돼야 한다"고 말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