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국내 배터리 3사(삼성SDI·LG에너지솔루션·SK온)의 기술력이 담긴 차세대 배터리가 한곳에 모였다. 6일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인 '인터배터리 2024'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개막하면서다.
올해로 12회째를 맞은 인터배터리는 국내 배터리 3사를 포함해 이차전지 소재·부품·장비 업체 579개사가 참여, 역대 최대 규모를 자랑했다.

'인터배터리 2024'에 입장하려는 사람들의 모습. = 조택영 기자
이날 오전 전시관이 공식적으로 문을 열기 전부터 입장권을 받으려는 관람객으로 인산인해를 이뤘다. 한국인, 외국인을 비롯한 배터리 업계 종사자부터 학생들까지 배터리 산업의 최신 기술을 접하기 위해 발걸음이 분주했다.
입구에서 만난 A씨는 "배터리가 떠오르는 산업이라 생각해 공부 차원에서 나오게 됐다"며 "이렇게까지 사람이 많을 줄은 몰랐다"고 말했다.
우선 삼성SDI(006400)는 이른바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ASB·All Solid Battery)를 집중적으로 선보였다. 전고체 배터리는 고체 전해질을 사용해 화재의 위험성이 적고 주행거리가 길어 배터리 업계에서 주목하는 차세대 배터리다.

삼성SDI의 전고체 배터리와 LFP+ 배터리. = 조택영 기자
삼성SDI는 지난해 말 신설된 ASB사업화추진팀을 중심으로 SDI연구소 S라인에서 샘플을 생산하는 등 전고체 배터리 사업화를 본격화하고 있다.
보급형 전기차 시장 확대에 따라 급성장하고 있는 LFP(리튬인산철) 배터리도 관람객들의 주요 관심사였다. 삼성SDI는 기존 LFP 배터리보다 성능이 개선된 LFP+ 배터리를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현장에서 만난 삼성SDI 관계자는 "여러 배터리 중 가장 차세대 배터리라 할 수 있는 것은 전고체 배터리와 LFP+ 배터리이며 상용화 목표는 전고체 2027년, LFP+ 2026년으로 잡고 있다"며 "LFP+는 기존 LFP 대비 삼성SDI만의 기술력으로 단가만 낮추는 게 아니라 좀 더 안정성을 높이고 에너지 효율도 높일 수 있게 만들 방침이다"라고 설명했다.

LG에너지솔루션의 파우치형 셀투팩(CTP)이 장착된 차량 목업(Mock-up). = 조택영 기자
LG에너지솔루션(373220)은 파우치형 셀투팩(CTP) 기술을 최초로 선보였다. 셀투팩은 최근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는 첨단 팩 디자인으로, 기존 배터리 구성에서 모듈 단계를 제거해 팩에 직접 셀을 조림함으로써 에너지 밀도를 높이고 배터리 무게와 비용을 절감한 것이 특징이다.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LG에너지솔루션의 셀투팩이 파우치 셀의 가벼운 무게 특성을 가져가면서도 팩 강성을 높이고 검증된 열 전이 방지 기술을 적용해 안정성을 강화했다고 말했다. 팩을 구성하는 부품을 줄이고 공정을 단순화해 제조원가를 절감, 가격 경쟁력도 높였다는 설명이다.
SK온은 성능을 향상한 SF(Super Fast·급속충전) 기술에 힘을 줬다. 기존 SF 배터리보다 에너지밀도는 높이면서 급속충전 성능은 유지하도록 했다. 18분 만에 셀 용량의 10%에서 80%까지 충전할 수 있다. SK온은 특수 코팅공법을 통해 음극 저항을 획기적으로 낮추고, 음극 정렬 공법을 적용해 리튬이온 이동경로를 단축했다.
저온 성능을 개선한 '윈터 프로(Winter Pro)' LFP 배터리도 공개했다. LFP 배터리는 일반적으로 저온에서 주행거리가 50~70% 줄어드는데, SK온은 에너지밀도를 19% 높이고 저온에서 충전 용량과 방전 용량을 기존 LFP 배터리 대비 각각 약 16%, 10% 늘렸다.
이 밖에 △포스코 △에코프로 △엘앤에프 등 이차전지 소재업체들도 행사에 참가해 기술력과 이차전지 밸류체인(가치사슬)을 소개했다.
한편 인터배터리는 이날부터 오는 8일까지 열린다. 한국배터리산업협회는 이번 행사 기간 동안 총 7만5000명의 관람객이 방문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