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2월22일 제약·병원 및 바이오업계 소식.
한미그룹은 22일 현재 그룹사 R&D 인력은 박사 84명, 석사 312명을 포함해 600여명에 달하며, 이는 전체 임직원 28% 이상을 차지하는 비중으로 업계 최대 규모라고 밝혔다. 임직원 중 의사, 수의사, 약사는 모두 76명으로 대부분 R&D 업무에 종사하고 있다.
이들 연구 인력들은 국내 5개 R&D 부서인 서울 본사 임상개발 파트는 물론, 팔탄 제제연구소와 동탄 R&D센터, 평택 바이오제조개발팀, 시흥 한미정밀화학 R&D센터 등에 포진해 의약품 제제연구와 신약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중국 현지법인 북경한미약품 R&D센터에서도 북경대, 칭화대 등 중국 최고 수준 대학 출신 연구원 180여명이 신약개발 업무 등을 맡고 있다.
한미그룹은 작년 11월 혁신신약 개발의 요람인 동탄 R&D센터 조직을 기존의 '바이오'와 '합성'으로 나누는 방식에서 벗어나 '질환(비만/대사, 면역/표적항암, 희귀질환)' 중심으로 세분화하는 대규모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임주현 사장과 최인영 R&D센터장의 리더십을 기반으로 이뤄진 조직 개편의 방향은 기술 융합과 연구원들 간 소통 및 협력을 극대화해 세상에 없는 '혁신' 창출에 속도를 낸다는 것이었다.
근년 들어 한미그룹의 재무 여건 때문에 매출 대비 20%씩 R&D에 투자하던 기조가 13%대까지 줄어들기도 했지만, 'R&D는 한미의 핵심 가치'라는 경영 철학에 따라 신약 연구개발에 다시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한국인 맞춤형 GLP-1 비만 치료제 '에페글레나타이드'는 작년 10월 식약처의 임상 3상 승인 후 2개월여 만에 첫 환자 등록까지 이뤄지는 등 속도감 있는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 외에도 MASH(대사질환 관련 지방간염, 구 NASH) 치료제로 개발중인 '에피노페그듀타이드'는 미국 MSD가 글로벌 2b상을 순조롭게 진행하고 있으며, 같은 적응증으로 개발한 '에포시페그트루타이드' 역시 글로벌 임상 2상에 진입하며 임상 개발에 더욱 속도를 내고 있다.
유한양행이 3월15일로 예정돼 있는 정기주주총회에서 정관 변경에 따른 회장, 부회장 직제 신설에 대해 공식적인 입장을 밝혔다.
일부 논란이 되고 있는 회장, 부회장 직제 신설은 회사의 목표인 글로벌 50대 제약회사로 나아가기 위해 선제적으로 직급 유연화 조치를 한 것이라는 것이다. 특히, 일부 거론되고 있는 특정인의 회장 선임 가능성에 대해서는 본인이 인터뷰를 통해 밝힌 바와 같이 절대 아니라고 말했다.
유한양행 측은 "정관 개정은 크게 세 가지 목적이다. 첫째, 회사의 양적· 질적 성장에 따라, 향후 회사 규모에 맞는 직제 유연화가 필요하다는 것"이고 "외부인재 영입 시, 현 직급대비 차상위 직급을 요구하는 경우, 글로벌 연구개발 중심 제약사로 도약하고 있는 시점에서 향후 우수한 외부인재 영입을 위해서도 필요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현재 '대표이사사장'으로 정관상 표기돼 있는 것을 표준정관에 맞게 '대표이사'로 변경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금번 정관 변경의 목적은 사업의 목적추가, 공고방법 변경 등 다양한 조항을 현실에 맞게 수정하는 과정이기에, 직제 신설 또한 미래 지향적인 조치일 뿐이라고 밝혔다.
또한, 유한양행은 1969년부터 지속돼 온 전문경영인 체제에 따라 주요 의사결정 시, 독립성과 전문성을 갖춘 이사회를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이사회 멤버는 사외이사 수가 사내이사 수보다 많으며, 감사위원회제도 등 투명경영시스템이 정착화돼 있다고 설명했다.
끝으로, 유한양행은 지금까지 한 세기에 가까운 긴 세월동안 그래왔듯이, 향후에도 'PROGRESS & INTEGRITY'라는 기업의 핵심가치를 바탕으로 모든 임직원이 글로벌 50대 제약사로 나아가기 위해 혼신의 노력을 다 할 것이며, 더 이상 소모적인 논쟁은 없었으면 좋겠다고 입장을 분명히 했다.
JW메디칼은 고해상도 이미지 구현 기술이 접목된 프리미엄 초음파 영상진단기기 '아리에타 750 딥인사이트(ARIETTA 750 DeepInsight, 이하 AR750DI)'를 출시했다.
일본 후지필름이 개발한 AR750DI는 기존 초음파 영상진단기기 '아리에타 750'에 딥인사이트 기술을 새롭게 적용한 프리미엄 초음파 의료기기다.
AR750DI에 적용된 '딥인사이트'는 초음파 장비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잡음(Electrical noise)을 감소시켜 보다 선명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최첨단 초음파 영상진단 기술이다. 불필요한 전기적 잡음은 제거하고, 인체 조직에서 생성되는 신호(Speckle signal)를 중심으로 초음파를 측정하는 것이 특징이다.

JW메디칼이 고해상도 이미지 구현 기술이 접목된 프리미엄 초음파 영상진단기기 '아리에타 750 딥인사이트'를 출시했다. © JW메디칼
실제로 후지필름의 '기술 보고서'에 따르면, 딥인사이트 기술은 간(肝)벽과 혈관벽의 선명도를 유지하면서, 혈관 내부와 인체 깊은 부위의 불필요한 영상 잡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해 체형에 상관없이 고해상 이미지 구현이 가능하다.
JW메디칼은 이번 AR750DI 출시를 계기로 상급종합병원 영상의학과를 중심으로 프리미엄 영상진단기기를 확대 공급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국내 영상의학 관련 학회에 참여해 AR750DI를 소개하는 자리를 마련할 계획이다. 지난 12월에는 삼성서울병원에서 진행된 대한유방영상의학회에서 AR750DI를 전시하고 프리미엄 영상진단 기술인 딥인사이트에 대한 최신 연구 성과와 우수성을 소개한 바 있다.
HK이노엔(HK inno.N)이 지난 21일 한국거래소 서울사옥에서 열린 '2023년 코스닥시장 공시우수법인' 시상식에서 'IR활동 우수법인' 표창을 받았다.
한국거래소는 매년 회사의 공시 정확성, 적시성, 적정성 및 IR활동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장기성실공시 우수법인 △실적예측공시 우수법인 △IR활동 우수법인 △종합평가 우수법인 총 4개 부문에서 우수기업을 표창하고 있다.
이 중 HK이노엔은 'IR활동 우수법인'으로 선정됐다. 기업 설명회(IR) 개최 횟수 및 대상자 선정, 개최방법 등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HK이노엔은 국내외 기업설명회 개최를 통해 시장과 적극적으로 소통함으로써 투자자에게 양질의 기업정보를 제공하는 동시에 신뢰 증진에 기여했다.
삼진제약은 일반의약품으로 소화불량, 속쓰림 등 다양한 위장 관련 질환에 보다 효과 빠른 양한방 복합소화제 '위싱유 정'을 출시했다.
위장질환은 크게 속쓰림, 소화불량, 복부팽만, 오심 등으로 나누어지는데 그동안 이러한 질환에는 제산제, 소화효소제, 가스 제거제, 진토제 등의 치료제가 각 목적에 따라 사용돼 왔다. 하지만 위장질환은 다양한 원인들을 통해 발생한다는 것이 여러 연구와 증상 발현 사례로 확인되고 있어 최근 관련 시장에는 이에 수반 된 복합 성분 의약품들이 치료제로 주를 이루고 있다.
삼진제약이 이번에 출시한 양한방 복합소화제 '위싱유 정' 제품명에는 '불편한 위장관 질환 증상의 빠른 해소로 인해 편안해진 위가 흥에 겨워 노래 한다'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 이는 소화 효소제, 제산제, 생약 성분 등으로 복합 구성돼 있는 위싱유 정이 소화불량, 속 쓰림, 과식 및 과음으로 인한 메스꺼움 등 다양한 위장관의 불편한 증상 해소에 빠르고 효과적이라는 장점을 함축한 것이다.
세부적으로 위싱유 정에는 △고목, 육계, 회향 등 7가지 생약 성분 고함량 함유 △제산 성분으로 빠른 효과와 지속성에 중점을 둔 탄산마그네슘과 침강탄산칼슘 등 함유 △소화효소제인 디아스타제·프로테아제·셀룰라제가 첨가돼 있어 복합적인 위장관 질환 증상을 빠르게 개선시킨다. 더불어 산제 제형인 기존 제품들과는 다르게 정제 타입으로 돼 있어 생약 성분 함유로 발생할 수 있는 불쾌한 냄새도 최소화하였으며, 고함량임에도 최소 정제 사이즈로 제조돼 있어 환자의 복용순응도 또한 높였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21일부터 24일까지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리는 유럽 크론병 및 대장염 학회(ECCO: European Crohn΄s and Colitis Organisation) 연례 학술대회를 통해 SB17(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성분명 우스테키누맙)의 임상 시험 후속 연구 결과 초록(abstract) 2건을 발표했다.
SB17의 오리지널 의약품 스텔라라(Stelara)는 얀센(Janssen)이 개발한 판상 건선, 건선성 관절염, 크론병 등의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로 인터루킨(IL)-12, 23의 활성을 억제하는 기전을 보유하고 있으며, 지난 해 기준 연간 글로벌 매출은 108억5800만달러(약 14조원)에 달한다.
삼성바이오에피스가 학술대회를 통해 공개한 첫 번째 초록(abstract)은 SB17과 오리지널 의약품 간 구조적(structural), 물리화학적 (physicochemical), 생물리학적(biophysical), 생물학적(biological) 특성을 분석한 것이며, 연구 결과 모든 측면에서의 동등성을 확인했다.
두 번째 초록은 SB17과 오리지널 의약품의 물리화학적(physicochemical), 비임상학적(non-clinical), 임상적(clinical) 동등성을 바탕으로 종합 근거(totality of evidence)를 확인한 내용이며, 연구 결과 SB17 임상 시험이 수행된 판상 건선 이외에도 오리지널 의약품이 보유한 나머지 적응증으로의 외삽(extrapolation)3) 이 가능함을 확인했다.
한편, SB17은 삼성바이오에피스가 SB4(엔브렐 바이오시밀러, 성분명 에타너셉트), SB2(레미케이드 바이오시밀러, 성분명 인플릭시맵), SB5(휴미라 바이오시밀러, 성분명 아달리무맙)에 이어 네 번째로 개발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이며, 삼성바이오에피스는 2023년 9월 산도스(Sandoz)와 SB17의 북미 및 유럽 판매를 위한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2022년 11월 글로벌 8개국에서 503명의 중등도 내지 중증의 판상 건선 환자를 대상으로 SB17의 임상 3상을 완료했으며, 해당 연구 결과를 통해 오리지널 의약품과 SB17 간의 유효성(efficacy)과 안전성(safety) 등의 임상의학적 동등성을 확인한 바 있다.
오스템파마가 2월23일 '뷰센30 치아미백제'를 출시한다.
신제품 '뷰센30 치아미백제'는 치아미백 성분인 과산화수소가 3.0% 함유돼 있다. 이는 일반 가정 등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치약형 생활 치아미백제 중 최대 함량이라고 오스템파마 관계자는 설명했다.
주요 성분인 과산화수소가 분해돼 생성된 산소가 치아의 착색 물질을 분해하는 것이 치아 미백의 원리다. 치과에서 사용하는 전문 치아미백제에도 과산화수소가 함유돼 있다. 식품의약안전처 고시 기준 3.0% 이하의 저농도 과산화수소가 포함된 제품은 '의약외품'으로 의사 처방 없이 일반 소매점에서 누구나 구매할 수 있다.
오스템파마의 설명에 따르면 '뷰센30 치아미백제'에는 파라벤, 트리클로산 등 유해 성분 5종이 첨가돼 있지 않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오스템파마의 기존 치아미백제에 사용되지 않은 클로브민트 신규 향이 첨가돼 사용자에게 상쾌함과 개운함을 선사한다.
오스템파마는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오스템 뷰센몰'에서 신제품 '뷰센30 치아미백제'를 사전 예약 판매한다. 예약 구매 혜택을 적용 받을 수 있는 기간은 2월29일까지며, 해당 기간 중 구매 시 정가 대비 8% 할인 혜택과 '오스템 더블와이드 칫솔' 1개, 시린 이 케어 '오스템S' 미니 치약(40g) 1개를 증정 받을 수 있다. 2월23일 정식 출시 이후에는 쿠팡, 11번가, 카카오선물하기 등에서도 구매할 수 있다.
차 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은 보건복지부와 국가생명윤리정책원이 시행하는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평가 인증을 획득하고 20일 현판식을 개최했다.
보건복지부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평가 인증은 기관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 실적 등을 정기적으로 평가해 인증하는 제도로 기관위원회의 질적 수준을 제고해 윤리적인 연구 환경 조성 및 연구대상자 보호 역량 확보를 위한 제도다.

차 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은 보건복지부와 국가생명윤리정책원이 시행하는 기관생명윤리위원회 평가 인증을 획득하고 20일 현판식을 개최했다. © 차병원
분당차병원은 서류, 현장, 종합평가 등 3단계 평가를 거쳐 연구환경 조성과 운영에 대한 평가를 받았다. 평가 결과 5개 항목, 40개 세부 평가 기준을 모두 충족해 연구 대상자 보호 및 연구 전 과정에서 국내외 기준에 부합하는 역량을 가진 의료기관임을 인정받았다. 또한 인간대상 연구, 인체유래물 연구, 배아생성의료기관, 배아연구기관, 인체유래물 은행, 배아줄기세포주 이용연구 등 모든 유형에서 인증을 획득하며 연구 수행 기관의 위원회로서 위상을 확고히 했다. 이번 IRB 평가 인증은 3년간 유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