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지난해 한국 조선업계의 선박 수주량이 중국에 크게 못 미친 것으로 집계됐다.
9일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작년 한국은 전 세계 수주량의 24%인 1008만CGT(표준선 환산톤수·218척)를 수주했다.
지난 2022년과 비교하면 수주 점유율은 33%에서 24%로 9%p 감소했고, 수주량은 40% 떨어졌다.
한국의 수주량 감소 폭은 전 세계 수주량 감소 폭보다 컸다. 지난해 전 세계 누계 수주량은 4168만CGT(1723척)로 전년(5117만CGT) 대비 19% 감소했다.

삼성중공업이 건조한 LNG운반선. ⓒ 삼성중공업
지난해 중국은 2493만CGT(1117척)를 수주해 전 세계 누계 수주량의 60%를 차지했다. 한국과의 점유율 격차는 지난 2022년 18%p에서 지난해 36%p로 벌어졌다.
작년 12월 전 세계 선박 수주량은 185만CGT(77척)로, 전월 대비 24% 감소하고 전년 동기 대비 46% 감소했다. 국가별로는 중국이 146만CGT(60척·79%), 한국이 20만CGT(7척·11%)를 수주했다.
작년 12월 말 기준 전 세계 수주 잔량은 1억2441만CGT였다. 이 가운데 한국은 3930만CGT로 32%를, 중국은 6124만CGT로 49%를 차지했다.
지난해 말 클락슨 신조선가지수는 2022년 말보다 16.5p 상승한 178.36이었다.
선종별 선가는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2억6500만달러 △초대형 유조선 1억2800만달러 △초대형 컨테이너선 2억3550만달러로 각기 전년 대비 △6.9% △6.7% △9.5%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