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올해 한국 조선업계가 지난해보다 수주량이 크게 줄어 3년 연속 중국에 세계 시장 1위를 내준 것으로 집계됐다.
다만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의 수주 비중을 늘리고, 암모니아 운반선 등으로 수주 선종 범위를 다양화한 것은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31일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은 4149만CGT(표준선 환산톤수)로 지난해보다 18.7%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한국은 지난해 대비 37.6% 감소한 1001만CGT(24%)를 수주하며 중국(2446CGT·59%)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한국은 2020년까지 3년 연속 수주 1위에 올랐으나, 자국 발주 물량이 뒷받침된 중국에 2021년부터 수주량이 밀리고 있다.
약 4년치 수주잔고(남은 건조량) 확보에 독(건조공간)이 가득 차 선별 수주에 나설 수밖에 없었던 것도 수주량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전체 수주량 감소에 따라 국내 조선 빅3의 올해 실적도 지난해보다는 미진한 상황이다. 올해 수주 목표를 다 채운 곳도 HD한국조선해양이 유일하다.
HD한국조선해양은 계열사인 △HD현대중공업 △현대삼호중공업 △현대미포조선을 합쳐 올해 총 223억2000만달러를 수주해 목표치였던 157억4000만달러를 41.9% 초과 달성했다.
반면 삼성중공업은 연간 목표 95억달러의 72%인 68억달러 수주에 그쳤다. 한화오션도 40억달러를 수주해 목표액 69억8000만달러의 57.3%에 머물렀다.
다만 실적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수주의 질은 크게 개선됐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중론이다.
고부가가치 선박이자 선가가 가장 높은 LNG 운반선의 높은 수주 점유율을 유지하고, 암모니아 운반선 등 친환경 선박으로 수주 선종을 다양화한 것은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올해 전 세계에서 발주된 LNG 운반선은 554만CGT였는데, 한국과 중국은 각각 441만CGT, 113만CGT를 수주하며 80%, 20%의 점유율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