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임금·단체협약 교섭이 결렬된 포스코가 창사 55년 만에 파업 위기에 놓인 모습이다. 협력사들은 노조가 단체행동을 멈추고 사측과 성실하게 교섭할 것을 촉구했다.
최근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산하 포스코 노동조합은 중앙노동위원회에 쟁의행위 조정신청서를 제출했다. 노사가 향후 조정 과정에서도 합의점을 찾지 못할 경우 조정 중지 결정이 내려지고, 노조는 합법적인 파업권을 확보하게 된다.
노조는 지난 10일 기자회견을 열고 "55년 동안 파업하지 않았다는 것은 거꾸로 직원들이 55년을 참아왔다는 얘기다"라며 "포스코가 노동의 가치를 알아주지 못한다면 과감하게 노동 3권의 단체 행동권을 보여줘야 할 때가 왔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사측은 최근 △기본임금 16만2000원 인상 △일시금 600만원(주식 400만원·현금 150만원·지역사랑상품권 50만원) 등을 최종안으로 제시했으나 노조의 반발로 교섭이 결렬됐다.

포스코 노조가 지난 10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중앙노동위원회 조정 신청에 대한 기자회견을 가진 후 고(故) 박태준 초대 회장의 묘소에 참배하고 있다. ⓒ 포스코 노조
사측이 △자사주 100주 △기본급 인상 13.1% 등의 노조 요구안을 들어주지 않았다는 이유에서다.
포항제철소 협력사협회는 사상 초유의 파업사태를 우려하며 노조의 성실한 교섭을 촉구하고 나섰다.
협회는 지난 12일 입장문을 통해 "코로나19로 인한 경영 악화와 지난해 냉천 범람으로 포항제철소가 겪은 사상 초유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불철주야 최선의 노력을 함께 해왔다"며 "고통의 시기를 지나 가까스로 도약의 희망이 보이는 시점에 포스코 노조의 단체행동 진행은 그동안 함께 고생한 모든 협력사 임직원들의 노력에 찬물을 끼얹는 행위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포스코가 멈추면 협력사와 직원들은 살아갈 수가 없다"며 "만약 파업으로 이어진다면 협력사는 매출 축소에 따른 고용 불안과 일자리 감소, 파업이 장기화될 경우 협력사의 존폐까지 위협받을 수 있는 절박한 생존권의 문제다"라고 밝혔다.
한편 포스코 노조는 10일간의 조정 기간을 거친 뒤 조합원을 상대로 파업 찬반투표를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찬성표가 과반을 넘으면 노조는 파업권을 획득, 본격적으로 단체행동에 나설 수 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