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미래 핵심 산업으로 주목받는 '로봇 시장'을 이끌 한화의 로봇전문기업 '한화로보틱스'가 4일 공식 출범했다.
한화로보틱스는 자체 보유한 첨단기술을 바탕으로 국내 협동로봇 시장은 물론 글로벌 시장까지 석권한다는 계획이다.
신설된 한화로보틱스는 한화 모멘텀 부문의 자동화(FA) 사업부 중 협동로봇, 무인운반차(AGV)·자율이동로봇(AMR) 사업을 분리한 것으로 지분은 한화가 68%, 한화호텔앤드리조트가 32% 보유한다.
숙박·레저·식음료 사업장을 운영하고 있는 한화호텔앤드리조트는 △음식 조리 △시설 관리 △보안 업무 등 사업장 곳곳에서 로봇 기술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해 공동 사업 참여를 결정했다.
대표적인 미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꼽히는 로봇 분야는 △미국 △유럽 △일본 △중국을 중심으로 기술 경쟁이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다. 특히 한화가 공을 들이고 있는 협동로봇은 최근 들어 시장규모가 눈에 띄게 증가했다.
시장조사 기관 마켓앤마켓에 따르면 세계 협동로봇 시장규모는 지난 2020년 약 1조원에서 지난해 2조2000억원으로 2배 넘게 증가했다. 2025년에는 6조4500억원 수준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도 글로벌 협동로봇 시장이 매년 40% 이상 성장해 2025년 6조8800억원 이상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내다봤다.

김동선 한화로보틱스 전략담당 전무가 지난 9월 판교 한화미래기술연구소에 방문해 협동로봇 성능을 점검하고 있다. ⓒ 한화로보틱스
한화로보틱스는 사람과 같은 작업 공간에서 협력하는 협동로봇을 중심으로 시장 점유율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기존 산업용 협동로봇 뿐 아니라 고객을 직접 응대할 수 있는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통해 라인업을 늘려갈 예정이다. 건물관리 로봇 등 자율주행 기술을 접목한 제품 출시도 추진한다.
글로벌 시장에도 적극 진출하기로 했다. 현재 한화로보틱스는 미국, 유럽 등 전 세계 30곳 이상의 거점을 통해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점차 확대하고 있다.
한화로보틱스 관계자는 "현재까지 한화 협동로봇 판매의 60% 이상이 북미와 유럽지역에서 이뤄졌다"며 "주요 국가들에 비해 국내 로봇산업 규모가 작지만 다양한 라인업을 통해 글로벌 시장 경쟁에 적극 뛰어들 것이다"라고 말했다.
한화호텔앤드리조트가 공동 사업 참여자로 나선 만큼 푸드테크 등 유통 현장 곳곳에도 첨단기술이 도입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화호텔앤드리조트 관계자는 "로봇 기술이 실제로 적용되면 고객 편의 향상은 물론, 현장 안전 강화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한화로보틱스 전략기획 부문을 총괄하게 된 김동선 전략담당 전무는 "로봇은 앞으로 인류의 삶의 질을 높이는 중요 사업이 될 것이다"라며 "사명감을 갖고 푸드테크, 보안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로봇 개발에 나설 것이다"라고 전했다.
한화 모멘텀 부문 FA사업부장을 지낸 서종휘 한화로보틱스 신임 대표는 "정밀기계·자동화 설계 기술을 통해 다져진 우수한 품질과 신뢰성을 강점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글로벌 협동로봇 시장을 집중 공략할 계획이다"라며 "로보틱스 사업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핵심 소프트웨어 기술 개발에 투자를 이어 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