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e외신] '얀센 기술수출' 유한양행 '렉라자', 폐암 1차 치료제 표준 '성큼'

존슨앤드존슨, 리브리반트 병용요법 3상 마리포사 긍정적 탑라인 발표 "진보된 결과"

박기훈 기자 | pkh@newsprime.co.kr | 2023.09.30 12:00:58

존슨앤드존슨은 미국 내 진행성·전이성 EGFR 변이 비소세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자체 개발 이중항암항체 '리브리반트'와 '렉라자' 병용요법 관련 마리포사 3상의 긍정적인 톱라인 결과를 발표했다. ⓒ 존슨앤드존슨


[프라임경제] 유한양행(000100)이 개발해 글로벌 빅파마인 얀센에 기술수출한 3세대 폐암 치료제 '렉라자(성분명 레이저티닙)' 병용 요법이 EGFR(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 변이 비소세포폐암 치료에 있어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했다. 이에 업계에선 1차 치료제의 표준이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평가하고 있다.

현지시간으로 28일 주요 외신들의 보도에 따르면, 얀센 모회사인 존슨앤드존슨(J&J)은 미국 내 진행성·전이성 EGFR 변이 비소세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자체 개발 이중항암항체 '리브리반트(성분명 아미반타맙)'와 '렉라자' 병용요법 관련 마리포사(MARIPOSA·NCT04487080) 3상의 긍정적인 톱라인 결과를 발표했다.

해당 발표에 따르면, 이번 3상 마리포사 연구에서 '리브리반트'와 '렉라자' 병용요법이 '타그리소(성분명 오시머티닙)'만 투여했을 때와 비교해 무진행 생존율(PFS)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임상적으로 유의미하게 개선돼 1차 평가변수를 충족했다. 

또한 가장 최종적인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장기생존기간(OS) 분석에서 '리브리반트'와 '렉라자' 병용요법이 '타그리소' 단독요법에 비해 우위에 있다고 강조했으며, 안전성 프로파일도 이전에 보고된 것과 일치하며 안전성도 검증했다고 밝혔다.

피터 레보비츠(Peter Lebowitz) 얀센 글로벌 항암제 부문 대표는 "마리포사 연구를 통해 얻어낸 긍정적인 최종 결과는 '리브리반트'와 '렉라자' 조합이 전방 EGFR 돌연변이 비소세포 폐암에서 잠재력을 갖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며 "이 조합은 핵심 암 유발 인자 경로를 억제하고 면역 시스템을 활성화해 질병에 다양한 방식으로 대처한다"고 자신했다.

알렉산더 스피라(Alexander Spira) 미국 내과학회 의학박사는 "그동안 EGFR 돌연변이 비소세포 폐암 환자들은 EGFR 티로신인산화효소억제제(TKI)로 치료를 받아왔지만, 이러한 약물들은 단독 요법으로 사용할 경우 항상 내성과 함께 질병 진행을 초래해왔다"고 입을 열었다.

이어 "이번 마리포사 3상을 통해 얻어낸 결과를 통해 '리브리반트'와 '렉라자' 병행요법이 TKI 단독치료를 넘어 진료 단계를 한 단계 더 진보시켰다"고 극찬했다. 

마리포사는 EGFR 변이 엑손 19 결손 또는 변이가 있는 1074명의 지역 진행성·전이성 비소세포폐암(NSCLC) 환자 1차 치료에서 '리브리반트'와 '렉라자' 병용 요법을 '타그리소' 단독 요법 및 위약(가짜약)과 비교하는 무작위, 오픈 라벨 3상 연구다. 

얀센은 선택된 2차 평가변수에 대한 추가 세부정보를 포함해 내달 열리는 유럽종양학회(ESMO)에서 보다 자세한 임상 데이터를 발표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현재 전 세계 폐암 1차치료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아스트라제네카의 폐암 표적치료제 '타그리소'를 뛰어넘는 데이터가 나온만큼 국산 신약 최초로 글로벌 블록버스터 의약품 반열에 오를 것이란 기대감도 더욱 커지고 있다. 

박병국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유한양행 100% 자회사인 유한화학이 얀센의 글로벌 '렉라자'를 위탁생산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다"며 "얀센 렉라자 임상 시료 생산 경험, 얀센의 타 지역 위탁생산 필요성, 렉라자 글로벌 승인 시점과 유사한 증설 시점 등에 주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렉라자'는 올해 6월30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EGFR 돌연변이가 있는 비소세포 폐암 환자의 1차 치료에 쓸 수 있는 약으로 변경 허가를 받았다. 이를 통해 이전에는 다른 약을 쓴 뒤에만 쓸 수 있었지만 앞으로는 환자들이 첫 진료부터 이 약을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유한양행은 이달 마지막 거래일인 지난 27일 기준 전 거래일 대비 2.02% 오른 7만5800원에 장을 마쳤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