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 교육관련 시민단체들이 14일 부산지법 앞에서 하윤수 교육감의 무죄를 주장하며 교육감 정상화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가졌다. ⓒ 부산교육살리기 운동본부 제공
[프라임경제] 부산교육살리기운동본부(상임대표 최상기, 공동대표 권명준·남복희·서인수) 등 교육계 시민단체는 14일 부산지방법원 앞에서 '2023 부산교육 살리기'라는 제목으로 하윤수 부산시 교육감 구명 운동에 앞장 서겠다는 내용을 담은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이들은 기자회견을 통해 "부산의 교육은 수십년 동안 저출산과 수도권 집중화 정책으로 날로 피폐해지고, 고급 인재들은 부산을 떠나 서울 수도권으로 몰려가고 있다"면서 "공교육 황폐화로 점점 대도시의 동력을 잃어가고 있는 현재의 부산 교육현장에 하윤수 교육감이 새바람을 불러 일으킨 공이 크다"고 평가했다.
이들 단체는 또 "전교조를 중심으로 한 일부 진부좌파 교사들이 지나치게 학생인권을 외치고, 공교육 활성화를 핑계로 수월성 교육을 외면하는 바람에 부산의 학부모 누구도 현장의 교사들과 학교 교육을 신뢰할 수 없는 지경이었다"며, "이런 교육현장에 가뭄의 단비처럼 보수우파를 대변하는 하 교육감이 전인교육 정책을 선보이며 학부모들에게는 신뢰감을 주며, 특히 '아침 체인지'라는 교육프로그램은 체력증진을 통해 인성을 함양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전국의 교육기관들이 부산의 공교육을 벤치마킹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단체는 이어 "이처럼 수도권 중심 교육에서 가까스로 탈피하고자하는 부산교육이 하윤수 교육감에 대한 법원의 당선 무효형 선고로 좌초 위기를 맞고 있다"면서 "향후 항소심 재판에서 하 교육감이 선거법이라는 족쇄에서 벗어나 새로운 부산시 교육행정을 더욱 가열차게 펼칠 수 있도록 우리는 사즉생의 각오로 구명운동을 하겠다"고 밝혔다.
부산교육 살리기 운동본부는 앞으로 하윤수 교육감과 더불어 △부산 교육의 전반적인 쇄신과 발전에 이바지 △부산의 재정부실 대학 살리기 운동에 앞장 △장기간 분쟁 중인 부산 사학의 신속한 정상화 촉구 △부산경제계와 각급 교육기관 간 '맞춤형 인재양성' 운동을 적극지지 △부산을 수도권에 맞서는 '동남권 교육허브수도'로 육성 등 부산교육 살리기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약속했다.
한편, 지난 8일 부산지법에서 진행된 1심 재판에서는 지난해 6·1 지방선거를 앞두고 포럼을 설립해 선거사무소처럼 운영한 혐의(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위반) 등으로 기소된 하윤수 부산교육감에 대해 당선무효형인 벌금 700만원을 선고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