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포스코가 창사 이래 처음으로 파업 위기에 놓였다. 사측의 교섭 복귀 요청에도 노조는 파업 수순을 밟고 있다. 파업이 현실화하면 철강생산에 차질이 생겨 포스코뿐만 아니라 산업계 전체가 피해를 볼 수 있어, 산업계도 덩달아 긴장하는 모양새다.
최근 포스코 노동조합은 중앙노동위원회에 조정을 신청하고 쟁의행위에 대한 조합원 찬반투표를 할 것을 예고했다.
앞서 포스코 노조는 지난달 23일 임금·단체협약 교섭 결렬을 선언한 데 이어 지난 6일에는 광양, 7일에는 포항에서 쟁의대책위원회 출범식을 열며 파업 수순을 밟고 있다.
포스코 노조는 △기본급 13.1% 인상 △조합원 대상 자사주 100주 지급 △목표 달성 성과급 200% 신설 △임금피크제 없는 정년 연장(60세→61세) 등을 요구하고 있다.
포스코 노사는 지난 5월31일 상견례를 시작으로 3개월간 20차례 단체교섭을 진행했다. 포스코 노조는 사측의 불성실한 교섭 태도와 약속 미이행 때문에 교섭 결렬을 선언했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노조의 요구사항 이행에 드는 비용이다. 총 1조6000억원으로 추산되며, 이는 포스코 연간 인건비 총액의 70%를 넘는 수준이다. 포스코 직원 평균 연봉은 지난해 공시기준 1억800만원이다.

포스코 노동조합이 지난 6일 오후 전남 광양제철소 앞에서 쟁의대책위원회 출범식을 개최하고 있다. ⓒ 연합뉴스
포스코 노조 요구안을 모두 이행할 경우, 조합원 1인당 약 9500만원의 연봉 인상을 수반하게 된다. 인상금액이 1억원에 가까워 1인당 평균연봉이 2억원에 육박하게 된다.
사측은 천문학적인 비용이 수반되는 만큼 받아들이기 힘들다는 입장이다. 지난해 태풍 '힌남노'로 막대한 피해를 입은 데다 생산이 정상화된 지 1년이 채 되지 않은 시점에서 노조가 과도한 요구안을 제시하고 있다는 것이다.
사측은 노조 측에 교섭 결렬 철회와 협상 복귀를 요청하고 있지만, 협상이 재개되지 않은 상태다.
포스코 관계자는 "원활하게 교섭을 진행하고자 지난 4일 노사안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새로운 50년의 지속 발전을 위해 노사 간 서로 소통하자는 내용의 부회장 명의 서한을 전 직원에게 발송했다"며 "노조에 교섭 결렬을 철회하고 교섭에 복귀할 것을 계속 요청하고 있으며, 향후에도 성실하게 교섭에 임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노조의 파업 가능성이 커지면서 산업계도 긴장하는 모습이다. 지난해 태풍 힌남노로 인해 포스코 포항제철소가 가동을 중단하면서 철강재 공급이 멈춰 자동차·조선 등 전방산업이 피해를 봤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파업이 본격화하면 그때부터는 포스코만의 문제가 아닌 산업계 전반의 문제로 번지게 된다"며 "막대한 피해로 이어질까 염려하며 긴장감을 늦추지 않는 상태다"라고 밝혔다.
포스코 협력 업체들도 포스코 노조의 행보에 주목하는 상태다. 노조의 무리한 요구로 인해 원·하청 상생 노력이 무색해질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김재열 포스코 포항제철소 협력사협회장은 "포스코 노조가 무리한 요구를 지속해 파업으로 이어진다면, 가뜩이나 어려운 협력업체의 고용과 근로조건 전반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우려를 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