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尹 "스타트업 생태계 민간·시장 중심으로 바꿔야"

전략 분야 대기업·금융권 등과 함께 2조원 규모 펀드 결성

김경태 기자 | kkt@newsprime.co.kr | 2023.08.30 15:45:39
[프라임경제] 윤석열 대통령은 30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스타트업 코리아 전략회의'를 주재하고, 벤처·스타트업 기업의 성장을 약속했다. 

이번 회의는 글로벌 창업대국이 되기 위한 정부 합동 스타트업 코리아 비전 및 추진전략을 토론하고, 민·관 합동으로 벤처·스타트업 성장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윤 대통령은 "스타트업이라는 단어의 개념요소에 글로벌, 디지털화, 세계화, 세계시장 등이 자리잡고 있다"며 "우리 스타트업들이 국내 시장에 안주하고 국내만 쳐다보고 있는다면 세계 시장에 접근하지도 못할 뿐 아니라 혁신도 안된다"고 당부했다. ⓒ 대통령실

윤 대통령은 회의를 시작하며 "전 세계가 지금 공급망 교란, 에너지와 기후위기, 보건 위기, 심각한 디지털 격차, 첨단 과학기술 패권 등 복합 위기와 도전에 직면해 있다"며 "이런 복합 위기와 도전은 자유와 창의를 기반으로 한 끊임없는 혁신, 그리고 국제 협력을 잘해야 극복해 나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윤 대통령은 "아이디어와 기술력으로 무장한 벤처와 스타트업은 우리 혁신의 주역이다"며 "정부는 우리 경제의 도약을 위해 강력한 수출 드라이브와 함께 스타트업 코리아 양대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고 전하며 윤석열 정부의 성과를 언급했다. 

윤 대통령은 "우리 정부가 들어선 이래 지난해 이후 7개의 유니콘 기업이 탄생해 역대 최대 규모로 증가했고, CES 혁신상 최다 수상 등 국제적으로도 많은 성과를 냈지만 지금 이 성과에 안주하지 않고 빠르게 변화하는 세계 경제환경에 맞춰 근본적인 변화를 주도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우리의 시야를 세계로 넓혀야 된다"고 독려했다. 

또 윤 대통령은 "세계 시장을 우리가 차지하겠다. 또 그들과 함께 세계 시장을 더 키워가겠다 하는 이런 의지를 가져야 된다"며 "세계 최고 수준의 스타트업 인프라를 갖추고, 글로벌 스타트업 허브로 커 나가야 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은 "혁신에 도전하는 청년들이 자유롭게 창업하고, 세계 시장으로 뻗어나갈 수 있도록 저희 정부도 열심히 뒷받침하겠다"며 "정부가 주도하고 있는 스타트업 생태계 역시 민간 중심, 시장 중심으로 과감하게 바꿔 나가야 한다"고 주문했다. 

윤 대통령은 기업들의 세계시장 진출과 관련해 "수출과 더불어 해외자본이 우리나라로 들어오는 것도 중요하다"며 "전 세계 인류의 후생 증대에 우리가 함께 기여할 수 있어야 우리의 이익이 정당화되는 것이고 거기에서 우리의 이익이 도출이 되는 것이다. 우리 정부는 세계화, 세계시장진출, 국제주의를 지향한다"고 밝혔다. ⓒ 대통령실

윤 대통령은 민간 사모펀드에 대한 출자와 세제 지원, 대기업·금융권 등과 함께 2조원 규모의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 결성 등을 언급하며 "혁신을 주도하는 전 세계 청년들이 대한민국으로 모이고, 또 우리 스타트업들이 전 세계 혁신가들과 힘을 합치고 연대해 마음껏 도전할 수 있도록 정부가 든든한 지원군이 되겠다"며 정부 지원 의지를 밝혔다. 

끝으로 윤 대통령은 "정부가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민간 중심, 시장 중심의 경제, 첨단 과학기술의 혁신과 이를 위한 국제 협력, 또 국제주의 추구 역시 여러분의 도전과 혁신을 위한 것"이라며 "정부가 더 열심히 노력하고 뛰겠다"고 덧붙였다. . 

한편 이날 회의에서는 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스타트업 코리아 추진전략'을 발표했다. 

정부는 벤처·스타트업이 디지털 경제를 선도하는 글로벌 창업대국 실현을 위해 △과감한 글로벌 도전 촉진 △글로벌 창업허브 조성 △벤처투자 민간투자 촉진 △지역창업 클러스터 활성화 △지역 벤처투자 환경 보완 △딥테크 스타트업 육성을 위한 개방형 혁신 활성화 및 규제개선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발표에 이어 진행된 토론에서는 벤처·스타트업 성장전략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졌다. 

토론자들은 벤처·스타트업의 글로벌 진출 및 유입을 활성화하고, 대기업과 스타트업이 상생·협력하는 창업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하는 한편 창업대국 실현을 위해서는 규제개선, 민간투자 촉진 등을 위한 정부의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