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시는 주요사업 내년도 정부예산안 반영을 환영했다. ⓒ 부산시
[프라임경제]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기획재정부에서 29일 발표한 내년도 정부예산안에 시 역점 추진사업들이 대거 반영됐다고 밝혔다.
이번 정부안에는 부산의 '글로벌 허브도시' 도약을 위한 물류, 금융·창업, 디지털·신산업, 문화관광 분야 현안사업들이 대거 포함돼 시는 추진 동력을 확보했다고 평가했다.
18가지 세부 사업 중 가장 크게 지원받는 사업은 단연 가덕도신공항 사업이다. 가덕도신공항 조기 개항을 위한 설계비, 보상비, 공사 착수비(5,363억)뿐 아니라 부산신항~김해 간 고속도로 건설(1,553억) 등이 반영돼 동북아 관문도시를 넘어 글로벌 물류허브로 도약하기 위한 발판을 놓았다는 평이다.
금융·창업 분야에서는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RIS)(300억), 블록체인 특화 클러스터 조성(33억) 등이 반영돼 글로벌 금융중심지로의 도약 및 디지털 금융-창업-인재육성의 선순환 생태계를 조성하는데 탄력이 붙게 됐다.
디지털․신산업 분야에서는 중입자가속기 구축 지원사업(99.8억), 조선 기자재업체 공동납품 플랫폼(33.8억), 수출주도 미래차산업 혁신성장 기술지원기반 구축(30억) 등이 반영돼 주력산업의 신속한 디지털 전환과 미래 신산업 육성을 통한 글로벌 디지털·신산업 도시로의 혁신에 속도를 내게 됐다.
문화․관광 분야는 국제관광도시 육성사업 추진(100억), 부산국제아트센터 건립(76.9억), 남부권 광역관광 개발(24.7억), 부산국제아동도서전 개최(6억) 등 부산만의 매력을 보여줄 수 있는 사업이 다수 반영돼 글로벌 문화·관광도시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하게 됐다.
굵직한 현안 사업 외에 부산시 시민 안전망에 대한 지원도 높일 수 있게 됐다.
시민 안전·건강 분야는 낙동강 조류 유입 차단을 위한 광역상수도 취수탑 건설(30억), 부산공동어시장 현대화(414억), 유기성폐자원 바이오가스화시설 건립(73.2억), 생곡쓰레기매립장 매립시설 확충사업(3억) 등이 반영돼 안전하고 쾌적한 삶을 누릴 수 있는 도시환경 조성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교통 분야에서는 내부순환(만덕~센텀) 도시고속화도로 건설(414.5억), 도시철도 사상~하단선 건설(188억), 도시철도 하단~녹산선 건설(130억) 등이 반영돼 도심 교통혼잡 해소에 기여하고 전국 최고의 대중교통 친화도시로 거듭나는데 속도를 더할 수 있게 됐다.
시는 "정부가 건전재정 기조에 따라 내년 예산상 총지출증가율을 2005년 이후 가장 낮은 2.8%로 결정한 상황에서 거둔 의미 있는 성과"라며 "이번 성과에 만족하지 않고, 정부안에 반영되지 못한 사업들도 최종 예산서에 반영·증액될 수 있도록 국회 예산심사에 총력 대응할 계획"이라고 의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