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코오롱인더스트리, 2분기 영업익 '658억원' 전년비 25.8%↓

매출 '1조3472억원' 전년비 3% 감소…전분기 대비 매출·영업익은 증가

조택영 기자 | cty@newsprime.co.kr | 2023.08.07 16:53:05
[프라임경제]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올해 2분기 연결기준 매출 1조3472억원, 영업이익 658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7일 공시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 25.8% 감소한 수치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글로벌 경제 위기로 인한 수요 위축 △금융시장의 불확실성 지속 △필름·전자재료부문 적자 확대 등이 실적 둔화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전분기와 비교하면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9.6%, 127.8% 상승했다. 

코오롱인더스트리 관계자는 "신차 판매 증가에 따른 산업자재부문 실적이 상승했고, 원재료 가격 하락으로 화학부문 수익성이 회복됐다"며 "또 패션부문 준성수기 진입 효과가 맞물리면서 전분기 대비 실적 개선을 이뤄냈다"고 말했다.

코오롱인더스트리 본사인 서울 마곡 코오롱 원앤온리타워 전경. ⓒ 코오롱인더스트리


사업 부문별로 살펴보면, 산업자재부문은 차량용 반도체 공급난 해소에 신차 수요 회복세가 더해지면서 자회사 코오롱글로텍의 카시트 사업 호조가 매출 상승을 견인했다.

또 아라미드는 올해 하반기 구미공장 더블업(Double-Up) 증설 완료를 앞두고 전기차·5G통신 수요 증대에 성장세를 지속하며 부문 매출 신장에 기여했다.

화학부문은 석유수지 원재료 가격 하락과 조선업 호황 사이클에 따른 페놀수지 수요 증가가 맞물리면서 시황 부진 악재 속에서도 비교적 선방했다. 

필름·전자재료부문은 IT 전방산업 수요 침체와 원재료 가격 상승으로 적자 지속 중이나 생산 가동률 조정으로 전분기 대비 손실폭을 줄였다.

패션부문은 다변화된 트렌트와 날씨 변화에 대응한 선제적인 포트폴리오 구성으로 매출 상승 기조를 이어갔다. 골프웨어 브랜드는 지난해 코로나19로 인한 기저효과에도 불구하고 상품 경쟁력으로 부문 매출을 뒷받침했다.

코오롱인더스트리 관계자는 "올 하반기도 복합위기 장기화로 녹록치 않은 경영환경이 예상된다"며 "3분기는 산업자재부문의 안정적인 성장세를 기반으로 각 사업부문별 지속성장 가시성 확보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