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두산이 지난해 ESG경영 성과를 담은 '2022 ESG보고서'를 25일 발간했다. 2013년부터 매년 지속가능보고서를 발행해온 이후 10번째 보고서다.
두산은 이해 관계자와 관련된 핵심 영역을 △인재(People) △지구환경(Planet) △파트너(Partner) 3P로 규정했다. 3P는 두산이 영위하는 업의 특성을 고려한 ESG경영의 지향점으로, 이해 관계자들의 이익을 우선순위에 두고 ESG경영을 실천하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두산은 이번 보고서를 △두산에너빌리티 △두산밥캣 △두산퓨얼셀 등 그룹 주요 계열사의 정량적·재무적 성과를 연결기준으로 작성했으며, ESG로드맵을 통해 두산의 ESG경영 성과와 단기 및 중장기 목표 등을 소개했다.
또 △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공개 협의체인 TCFD 권고안 △기업이 환경·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환경·사회 변화가 기업의 재무 상태에 미치는 영향 모두를 고려한 이중중대성 평가 △가치사슬 전반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Scope 3) 측정 등 기존 지표와 개념을 더 구체화했다.
이외에도 두산의 제품·서비스가 이해 관계자에게 미치는 사회·환경적 가치를 화폐화해 공개하고 있다. 지난해 △인재 △지구환경 △파트너 3가지 영역에서 창출한 사회적 가치는 약 3057억원으로 나타났다.
문홍성 두산 사장은 "두산은 지난해 재무구조 강화와 중장기 성장동력 확보에 집중하면서 ESG 각 영역을 고도화했다"며 "앞으로도 ESG에 기반한 경영을 통해 더 큰 가치를 창출하고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