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포스코인터내셔널(047050)이 2021년 대비 탄소배출을 2030년까지 37% 감축하고, 2050년까지 궁극적으로 탄소중립 '넷 제로(Net Zero)'를 달성하기로 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이같은 '2050 탄소중립 달성' 목표를 공식 선언하고, 이를 위해 수소 혼·전소 발전, 배출가스 CCS(탄소포집·저장) 사업 확대와 더불어 해상풍력 에너지원을 중점적으로 확보한다는 기본 로드맵을 수립했다.
이번 선언은 최근 포스코에너지 합병을 통해 발표한 '미래세대를 위한 글로벌 친환경 기업'으로 도약한다는 것과 정부의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수립에 발맞춰 국가 탄소중립 행보에 적극 동참한다는 의미도 있다.
2050 탄소중립 기본로드맵은 대부분의 온실가스가 발생하는 국내 사업장과 종속회사를 대상으로 한다. 구체적인 감축 방안은 '직접 감축'과 '간접 감축' 두 파트로 나뉜다.
직접 감축은 연료전환과 CCS를 통해 탄소배출을 직접 감축하는 방안이다. 간접 감축은 재생에너지 생산 확대를 통해 탄소배출권을 확보하는 것이다.
직접 감춤 단계에서는 국내 주요사업장인 인천복합발전소의 3.4GW 규모 LNG 발전을 수소 혼·전소로 순차적으로 전환한다. 이와 함께 발전소의 잔여 배출탄소 저감을 위해 CCS 기술을 적극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포스코인터내셔널 광양 LNG터미널 전경. ⓒ 포스코인터내셔널
해당 CCS 사업은 국가 간 협약과 운영 경제성, 지중저장 기술개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국내외에서 점진적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특히 포집된 탄소는 육지에서 먼 해상까지 안전하게 운송, 저장돼야 하는 점이 관건이다. 이를 위해 포스코인터내셔널은 국내와 동남아시아 해상을 중심으로 대규모 CCS 저장소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간접 감축 단계에서는 태양광과 육·해상풍력을 통한 탄소 크레딧 확보와 더불어 그룹 차원의 RE100 대응을 위해 재생에너지 사업을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 현재 전남 신안에서 운영 중인 14.5MW 규모의 태양광과 62.7MW 규모의 육상풍력에 더해, 해상풍력사업에서 총 2.5GW의 신규 용량을 2050년까지 확보할 예정이다.
포스코인터내셔널 관계자는 "올해 에너지 통합 원년을 기점으로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전 에너지 밸류체인에 걸쳐 미래 지속가능한 탄소중립 생태를 꾸준히 구축해 탄소중립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글로벌 친환경 에너지 전문기업으로 자리매김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