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GS칼텍스가 대한항공(003490)과 손잡고 하늘 위 탄소저감을 위한 바이오항공유(SAF) 실증을 개시한다. 이를 통해 그린 트랜스포메이션(Green Transformation) 추진을 가속화한다는 방침이다.
GS칼텍스는 29일 서울 강남구 GS타워에서 김창수 GS칼텍스 부사장, 조성배 대한항공 자재 및 시설부문 총괄 전무 등 양사 관계들이 참석한 가운데 바이오항공유 실증 추진 협약을(MOU)를 체결했다.
GS칼텍스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국제적인 탄소배출 감축 기조에 발맞춰 바이오항공유를 도입해 대한항공에 공급하고, 대한항공은 실증 비행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두 회사는 바이오항공유 도입을 위한 제반 인프라와 환경을 공동 조성하며, 향후 정부는 양사의 실증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바이오항공유 품질 등 기준을 마련해 상용화를 촉진할 계획이다.
이번 실증은 지난 6월28일 정부가 발표한 바이오항공유 실증연구 추진 계획에 따라, GS칼텍스와 대한항공이 이번 실증 개시에 착수함으로써 정부의 바이오연료 사업 활성화 정책에 적극 동참하는 것이다.
앞서 국제민간항공기구(ICAO)는 글로벌 저탄소 기조와 온실가스 저감의 필요성에 따라 2050년까지 항공기 온실가스 배출량을 대폭 줄여 탄소중립(넷제로)을 달성하는 데 힘쓰기로 합의한 바 있다.
전 세계 항공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항공기의 연료는 부피와 무게 제약이 승용차와 선박보다 커서 전동화와 수소 연료 등으로의 전환이 다른 운송 분야 대비 늦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항공 분야 온실가스 감축의 핵심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는 것이 바이오항공유이다. SAF는 동·식물성 기름이나 폐식용유 등을 가공해 생산하는 지속가능 연료로, 화석연료 대비 탄소 배출량을 최대 80%까지 줄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허세홍 GS칼텍스 대표이사 사장. ⓒ GS칼텍스
EU에서는 2025년부터 기존 항공유에 바이오항공유를 최소 2% 이상 섞는 것을 의무화했고 2030년 6%, 2035년 20%, 2050년 70%로 점차 혼합 비율을 높일 예정이다. 미국도 SAF 사용에 세액 공제를 제공하는 등 SAF 사용을 독려하고 있다.
김창수 GS칼텍스 부사장은 "이번 바이오항공유 실증 진행을 통해 GS칼텍스는 공급망을 구축하고 대한항공은 실증 비행을 진행한다"며 "글로벌 저탄소 기조에 맞춰 국내에서도 바이오항공유 도입 기반에 필요한 각 사의 역할과 기능을 재확인하고 검증할 예정이다. 또 향후 상용화 촉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정부와 공공기관들과 적극 협력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조성배 대한항공 자재 및 시설부문 총괄 전무는 "바이오항공유는 항공부문 탄소 감축을 위한 핵심수단이지만 국내외 정책·규제, 수요·공급 등 여러 변수에 큰 영향을 받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라며 "이번 실증 운항을 통해 국내 바이오항공유 활성화 기반을 다질 수 있도록 GS칼텍스와 협력하고 정부의 탈탄소 에너지 정책에 부합되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GS칼텍스는 탄소중립, 에너지전환 대응 등 미래 환경변화에 대응하고자 근원적인 혁신, 팀 트랜스포메이션을 추진하고 있다. 이 중 기존 사업의 탄소 감축과 수소, 폐플라스틱 순환경제, 바이오 사업 등 저탄소 신사업을 본격화하는 그린 트랜스포메이션에 집중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