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이BIO] 동아에스티·종근당건강·휴젤 외

 

추민선 기자 | cms@newsprime.co.kr | 2023.06.21 11:58:22
[프라임경제] 6월21일 제약·병원 및 바이오업계 소식. 

동아에스티가 구립동대문장애인종합복지관에 동아참메드 환경표면 소독 티슈(ED Wipes)를 기부했다.

기부에 앞서 지난 20일 구립동대문장애인종합복지관에서 김민영 동아에스티 대표이사와 정은아 구립동대문장애인종합복지관 관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해 소독티슈 전달식을 진행하였다.

동아에스티가 구립동대문장애인종합복지관에 동아참메드 환경표면 소독 티슈를 기부했다. © 동아에스티


동아에스티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감염병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구립동대문장애인종합복지관의 쾌적한 환경 조성 및 감염병 예방을 위해 동아참메드 환경표면 소독티슈(ED Wipes) 1000개를 구립동대문장애인종합복지관에 기부했다.

동아참메드 환경표면 소독티슈(ED Wipes)는 안전확인대상 생활 화학제품 기타 방역용 소독 제제 승인품목으로 페놀, 염소, 글루타르 알데아히드계 등 유해성분이 포함되지 않아 전국 병의원 및 감염관리가 필요한 곳에서 안전하게 사용하고 있는 제품이다.

종근당건강이 '금쪽같은 우리 아이 건강 강화 프로젝트'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이번 프로모션은 오는 30일 오전 10시까지 종근당건강의 키즈 제품을 대상으로 이뤄진다. 날이 더워지는 여름을 맞아 아이들이 건강하게 여름을 보낼 수 있도록 보다 많은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프로모션을 구성했다.

먼저, 금쪽같은 우리 아이 건강을 위한 키즈 아이템을 최대 38% 할인된 가격에 제공한다. △락토핏 키즈 50포 1통 △아이클리어 키즈구미 1박스 △프로메가 짜먹는 식물성 오메가3 키즈 1박스 등 종근당건강의 스테디셀러 제품을 합리적인 가격에 만나볼 수 있다.

또한 구매 금액대별로 추가 사은품을 증정하는 프로모션도 동시에 전개한다. 6만원 이상 구매 시 락토핏 키즈 1통을, 9만원 이상 구매 시 어린이 홍삼 1박스를 무료로 증정하는 등 최대 4만원 상당의 사은품을 지급한다.

이외에도 인기 제품들을 최대 15% 할인된 특가에 선보이며 아이들의 건강과 면역력을 키워줄 다양한 혜택을 마련했다.

휴젤㈜은 자사의 보툴리눔 톡신 제제 '보툴렉스'에 대한연구가 SCI급 국제 미용·성형 학술지인 '에스테틱 서저리 저널(Aesthetic Surgery Journal)'에 게재됐다.

이 문헌은 휴젤의 중국 미용·성형 분야 KOL 학술 네트워크 'C-GEM(China-Global Expert Members)을 비롯해 태국·한국 전문가 총 10명이 참여, 아시아인을 대상으로 보툴리눔 톡신의 부위별 다양한 시술 테크닉 및 노하우를 담은 '컨센서스 연구(Expert Consensus Report)'다.

© 휴젤

연구진은 다양한 임상 경험 및 안면 해부학 지식을 바탕으로 휴젤의 '보툴렉스(LetibotulinumtoxinA)'를 활용해 미간·눈가·코·입가 '주름 제거', 사각턱·귀밑샘ㆍ관자놀이 부위 '윤곽 조정술', 눈썹·입가·턱선 '리프팅' 등 세가지 측면에 대한 아시아인 맞춤형 시술 전략을 제시했다.

컨센서스 연구는 숙련된 의료진이 현장 경험에 의거해 특정 시술ㆍ약물 등에 대한 의견과 권고사항을 작성한 것으로, 이번 데이터는 실제 진료에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에스테틱 의학 분야는 제품 특성 상 직접 비교 임상(head-to-head)을 진행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특히 보툴리눔 톡신 시술 용량 및 주입 기술은 인종과 문화 차이에 영향을 많이 받는데, 이 컨센서스 연구 발표는 아시아 환자들의 니즈에 맞는 최신 트렌드를 반영함과 동시에 얼굴 전체 리쥬비네이션(rejuvenation) 시술에 대한 새로운 의학적 근거 자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휴젤 또한 이번 학술지 게재를 계기로 아시아 지역에서의 입지를 한층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보툴렉스(수출 제품명 : 레티보/Letybo)는 현재 7년 연속 국내 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태국에서도 시장 점유율 약 50%를 기록하며 1위 자리를 달성했다. 또 국내 기업 최초로 중국 시장에 진출, 정부 정책에 발맞춰 정품 인증 활동을 전개하는 등 활발한 영업·마케팅을 진행 중이다. 

대웅제약은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펙수클루(성분명: 펙수프라잔염산염)'가 출시 11개월 만에 누적 처방액 300억원을 돌파하며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의 패러다임을 앞장서 바꿔나가고 있다.

P-CAB 제제는 기존 PPI(양성자 펌프 억제제) 제제의 단점인 느린 약효 발현과 식이 영향, 약물 상호작용 등을 개선한 차세대 치료제다. 특히 펙수클루는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가운데 반감기가 9시간으로 가장 길어 한 번 복용만으로도 약효가 오래 지속돼 야간 속쓰림 증상 등을 현저히 개선시킨 것이 강점이다.

의약품 표본 통계정보인 유비스트(UBIST)에 따르면 지난해 7월 출시한 펙수클루의 누적 처방액은 지난 5월 기준 319억원이다. 출시 이후부터 월평균 15%의 성장률을 보인 펙수클루는 일찍이 발매 6개월 차에 100억 원, 9개월 차에 200억원을 넘어섰다.

이와 함께 펙수클루는 P-CAB 계열 치료제의 전체 성장에도 힘을 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펙수클루 출시 이전 300억원대에 머물던 P-CAB의 분기별 처방액은 최근 400억원대를 넘어서고 있다. 유비스트 통계에 따르면 펙수클루 성장세에 힘입어 지난 1분기 P-CAB 시장 규모는 477억원을 기록하며 펙수클루 출시 전인 전년동기(311억원) 보다 54% 늘었다.

대웅제약은 펙수클루가 글로벌 위식도역류질환 시장에서 받고 있는 높은 평가를 바탕으로 고성장 행보를 이어나갈 계획이다. 지난달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2023 소화기질환주간(DDW 2023)'에서 각국의 소화기 전문가들은 펙수클루가 위식도역류질환의 치료 패러다임을 바꿔나갈 것이라는 데 공감을 표하기도 했다.

아울러 대웅제약은 펙수클루의 적응증과 복용 편의성을 위한 제형 확대에 박차를 가한다. 현재 확보된△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치료 △급성위염 및 만성위염 위점막 병변 개선 외에도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치료 후 유지요법 △헬리코박터 제균을 위한 항생제 병용요법 등 관련 임상이 진행 중이다. 여기에 복용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물 없이 입에서 녹여 먹는 구강붕해정과 IV제형(주사제) 개발도 이뤄지고 있다.

차 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상혁·박천일·방민지·김현주 연구팀은 공황장애 환자들의 어린시절 이별 혹은 상실과 같은 정서적 문제가 세로토닌 전달체 유전자(serotonin transporter-linked polymorphic region, 이하 5-HTTLPR)의 후성유전학적 변화인 DNA 메틸화와 관련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Neuropsychobiology(IF: 12.329)' 최근호에 게재됐다.

공황장애는 정신적 스트레스 경험들을 포함한 외부환경 변화뿐 아니라 약 43%의 유전적 요인에 의해 발병한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공황장애 환자의 어릴 적 분리경험에 의한 정신적 스트레스와 유전자 부위의 변화에 따른 병태생리적 차이가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다.

분당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상혁 연구팀은 2009년 5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분당차병원에서 공황장애를 진단받은 환자 232명과 건강대조군 93명을 대상으로 5-HTTLPR의 주요 DNA 메틸화 변화 정도를 비교했다. 또 어린시절 분리경험에 의한 정서적 어려움과 뇌 백색질(신경다발) 구조, 불안 체질(anxiety trait)의 정도를 비교했다. 

그 결과 공황장애 환자에게 5-HTTLPR 유전자의 주요 CpG 부위 메틸화 정도가 약 6.2% 낮았다. 어린 시절 분리경험에 의한 정신적 스트레스가 클수록 해당 유전자 부위의 메틸화 정도가 약 7% 낮게 나타났다. 

(왼쪽부터)분당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상혁∙박천일∙방민지 교수, 김현주 전임의. © 차병원


5-HTTLPR 유전자의 메틸화 정도의 감소된 정도가 클수록 주요 뇌 백색질 회로로 전두엽을 연결하는 위세로다발(superior longitudinal fasciculus)의 연결성도 증가했다. 공황장애 환자들의 어린시절 경험에 따른 유전자 부위의 낮은 메틸화와 위세로다발 백색질의 연결성 증가 관련성을 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뇌 백색질의 연결성은 해당 영역이 활성화 될수록 강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공황장애 환자들은 불안 증상과 신체 감각에 몰두하고 과도한 걱정을 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 불필요한 뇌 백색질 연결이 증가된다. 어린시절 분리 경험에 의한 정신적 스트레스가 해당 유전자 부위의 후성유전학 변화와 뇌 백색질 연결성을 변화시키는 신경가소성(neuroplasticity) 변화를 유도하고 불안 체질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