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윤석열 대통령은 11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이하 중대본) 회의'를 직접 주재했다.
이날 회의에서 윤 대통령은 지난 2020년 1월 코로나19가 국내에서 처음 발생한 지 3년4개월 만에 코로나19 심각 경보를 해제했다.
이번 조치는 지난 5일 세계보건기구(WHO)의 공중보건비상사태 해제 상황과 8일 '국가감염병 위기대응자문위원회' 전문가 권고를 적극 반영한 것이다.

회의에서 윤 대통령은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으로부터 '코로나19 위기단계 하향 조치 및 신종감염병 대유행 대비 계획'을 보고 받았다. ⓒ 연합뉴스
본격적인 회의에 앞서 윤 대통령은 일상회복을 위해 코로나 최전선에서 수고해 준 △의사 △간호사 △간호조무사 등 보건의료인에게 감사의 뜻을 전했다.
윤 대통령은 "저도 몇 차례 코로나 진료와 치료를 담당하는 병원을 다녀봤는데 정말 의료진들 고생이 너무 많았다"며 "이분들의 협업 덕분에 팬데믹을 극복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은 이날 회의에서 코로나 위기 경보를 '심각'에서 '경계'로 조정하고 오는 6월부터 본격 적용키로 했다.
이에 따라 확진자 7일 격리 의무를 5일 권고로 전환하고, 입국 후 PCR 검사 권고를 해제했다. 또 입원 병실이 있는 병원 이외의 모든 장소에서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를 해제하고, 코로나와 관련된 검사, 치료비 지원은 경과조치로서 당분간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다시 한 번 의료진과 보건 산업 종사자들에 감사를 표한 윤 대통령은 "우리 정부는 그동안 정치 방역에서 벗어나 전문가 중심의 과학 기반 대응체계 구축에 최선을 다해 왔다"며 "우리 정부 과학방역의 핵심은 중증 위험 관리와 국민 면역수준의 증진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윤 대통령은 "앞으로도 정부는 새로운 팬데믹에 대비해 과학 기반 대응체계를 착실하게 준비해 두겠다"며 "새로운 팬데믹에 적용할 수 있는 백신 치료 개발 역량을 높이고, 국제 협력도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끝으로 윤 대통령은 "코로나가 초래한 다양한 사회적 변화가 미래의 성장 동력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디지털 정책 등 포스트 코로나 정책을 세심하게 마련하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