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尹, 美 상·하원 합동회의서 영어로 43분간 연설

한국 대통령으로 10년만에 美 의회 연단에 올라…'민주주의 가치' 강조

김경태 기자 | kkt@newsprime.co.kr | 2023.04.28 08:51:57
[프라임경제] 미국을 국빈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은 27일(현지시간) 워싱턴DC의 미·상하원 합동회의 연설에 나섰다. 

'자유의 동맹, 행동하는 동맹(Aliiance of Freedom, Alliance in Action)'이라는 제목으로 약 43분 간 영어로 연설한 윤 대통령은 '자유'를 핵심 키워드로 내세웠다. 

윤 대통령은 27일(현지) 워싱턴DC 미 상·하원 합동회의 연설에서 '자유의 동맹, 행동하는 동맹'이라는 제목의 연설을 했다. ⓒ 연합뉴스

윤 대통령은 "저는 지금 자유에 대한 확신, 동맹에 대한 신뢰, 새로운 미래를 열고자 하는 결의를 갖고 미국 국민 앞에 서 있다"며 "미 헌법 정신을 구현하고 있는 바로 이 곳에서 연설하게 돼 기쁘다"고 말했다. 

특히 윤 대통령은 '한미동맹 70주년 결의'를 채택한 것에 대해 감사의 말을 전하고 미국의 양당 의원들이 어떤 진영에 있든 간에 대한민국 편에 서 있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은 미국의 한국전쟁 참전에 대한 감사의 말을 전하고, '전혀 알지 못하나는 나라의 한 번도 만난 적 없는 국민'을 지키기 위한 미군의 희생에 대해 경의를 표했다. 

윤 대통령은 "올해로 70주년을 맞이한 한미동맹을 축하해야 할 이유는 너무 많다"며 처음부터 성공한다는 보장은 없지만 오늘날 우리의 동맹은 어느 때보다 강력하며, 함께 번영해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또 윤 대통령은 "우리 두 나라는 그 누구보다도 서로 긴밀하게 연결 돼 있다"며 "한미동맹은 대한민국의 자유와 평화를 지키고 번영을 일궈 온 중심축이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윤 대통령은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한 노력도 필요하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지금 우리의 민주주의는 위기에 직면해 있다"며 "세계 도처에서 허위 선동과 거짓 정보가 진실과 여론을 왜곡해 민주주의를 위협하고 있다. 허위 선동과 거짓 정보로 대표되는 반지성주의는 민주주의를 위협할 뿐 아니라 법의 지배마저 흔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윤 대통령은 "이들 전체주의 세력은 자유와 민주주의를 위협하고 부정하면서도 마치 자신들이 민주주의 운동가, 인권 운동가인 양 정체를 숨기고 위장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우리는 이런 은폐와 위장에 속아서는 안된다. 민주주의는 자유와 인권을 보장하기 위한 공동체의 정치적 의사결정 시스템으로, 이런 의사결정은 진실과 자유로운 여론 형성에 기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윤 대통령은 "자유를 소중히 여기는 사람은 다른 사람의 자유도 소중하게 생각한다"며 "70여 년 전 대한민국의 자유를 위해 맺어진 한미동맹은 이제 세계의 자유와 평화를 지키는 글로벌 동맹으로 발전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은 "대한민국은 미국과 함께 미래로 나아갈 것"이라며 "대한민국은 미국과 함께 세계시민의 자유를 지키고 확장하는 '자유의 나침반' 역할을 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 대통령이 미 의회 연단에 오른 것은 지난 2013년 5월 박근혜 전 대통령 이후 10년 만이다. ⓒ 연합뉴스

윤 대통령은 자유를 반대하고 공산 전체주의를 선택한 북한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윤 대통령은 "북한은 자유와 번영을 버리고 평화를 외면해 오고, 불법적 핵 개발과 미사일 도발은 한반도와 세계 평화에 대한 심각한 위협이다"며 "북한의 무모한 행동을 확실하게 억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한미의 단합된 의지가 중요하다"며 한미동맹의 중요성과 한층 강화된 대북 확장억제 조치에 합의한 점에 대해 알렸다. 

윤 대통령은 "날로 고도화되는 북핵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한미 공조와 더불어 한미일 3자 안보 협력도 더욱 가속화해야 한다"며 "우리 정부는 도발에는 단호히 대응하되 비핵화를 위한 대화의 문을 열어 둘 것"이라고 말했다. 

또 지난 북한이 핵 개발을 중단하고 실질적 비핵화 프로세스로 전환한다면 북한의 민생과 경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겠다는 '담대한 구상'을 제안한 것을 언급한 윤 대통령은 "북한이 하루 빨리 도발을 멈추고 올바른 길로 나오기를 바란다"고 다시 한 번 촉구했다. 

윤 대통령은 러시아를 직접 언급하지 않았지만 자유민주주의를 위협받고 있는 '우크라이나 사태'에 대해서도 비판했다. 

윤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전쟁은 국제규범을 어기고 무력을 사용해 일방적으로 현상을 변경하려는 시도"라며 "대한민국은 정당한 이유없이 감행된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력공격을 강력히 규탄한다"고 말했다. 

이어 윤 대통령은 북한이 한국을 침공했을 당시 많은 자유민주주의 국가들의 도움이 있었던 것을 언급하며 "대한민국은 자유세계와 연대해 우크라이나 국민의 자유를 수호하고 이들의 재건을 돕는 노력을 적극적으로 펴 나갈 것"이라고 했다. 

윤 대통령이 합동회의에서 연설을 마친 뒤 당연직 상원의장인 카말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과 악수하고 있다. ⓒ 연합뉴스

끝으로 윤 대통령은 한미동맹의 확장에 대해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우리는 지금 인도-태평양 시대에 살고 있다"며 "대한민국은 인태 지역 내 규범 기반의 질서를 강화하기 위해 주요 파트너들과의 협력을 포괄적으고 중층적으로 확대해 나갈 것이다. 그만큼 한미동맹이 작동하는 무대 또한 확장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윤 대통령은 "미국 국제개발처(USAID)의 지원을 받던 한국이 이제 미국과 함께 개발 도상국들에게 개발 경험을 전수해 주고 있다"며 "양국은 외교 안보를 넘어 인공지능, 퀀텀, 바이오, 오픈랜 등 첨단 분야의 혁신을 함께 이끌어 나갈 것"이라고 했다. 

윤 대통령은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두 기술 강국의 협력은 커다란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며 "한미동맹은 자유, 인권, 민주주의라는 보편적 가치로 맺어진 가치 동맹이다. 우리의 동맹은 정의롭고, 평화의 동맹이며, 번영의 동맹으로 미래를 향해 계속 전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은 "우리가 함께 만들어나갈 세계는 미래 세대들에게 무한한 기회를 안겨줄 것"이라며 "새로운 여정에 함께해 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한국 대통령이 미 의회 연단에 오른 것은 지난 2013년 5월 박근혜 전 대통령 이후 10년 만이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