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대통령실은 미국 정보기관이 한국 정부를 도·감청했다는 의혹에 대해 "사실 관계 파악이 먼저"라고 강조했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상황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며 "지금 미국 언론에서 보도된 내용은 확정된 사실이 아니고, 지금 미국 국방부도 법무부에 사실관계 확인을 요청한 상황이다. 사실 관계 파악이 가장 우선"이라고 말했다.

대통령실은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미국 정보기관의 한국 정부 도청과 관련해 "청와대 보다 더 안전하다"고 주장했다. ⓒ 프라임경제
이어 "이번 보도(미국 중앙정보국(CIA)이 대통령실을 감청했다)가 나온 상황을 주목해야 한다"며 "유출됐다고 주장하는 자료 대부분이 러시아와 우크리아나 전쟁 관련으로, 미국에서는 유출 자료 일부가 수정되거나 조작됐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특정 세력의 의도가 개입됐을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또 이 관계자는 "한국과 미국의 상황파악이 끝나면 필요할 경우 미국 측에 합당한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며 "이런 과정은 한미 동맹간 형성된 신뢰관계를 바탕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한미정상회담을 앞둔 시점에서 이번 사건을 과장하거나 혹은 왜복해서 동맹관계를 흔드려는 세력이 있다면 많은 국민들로부터 저항 받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아울러 '도·감청 관련해 국방부에서 합참 건물은 필요한 조치가 이뤄졌다는데 민주당은 대통령실 모든 선과 장비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고 했다'는 질문에 이 관계자는 "야당의 주장에 대해서는 늘 귀를 열고 합당한 주장은 받아들이지만 이번 사안에 대해서는 팩트와 거리가 멀다"고 지적했다.
또 "대통령실의 보안 문제는 이전 전부터 완벽하게 준비했다. 구체적으로 말하기 힘들지만 정기적으로 점검이 이뤄지고 있고,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파악되고 있다"며 "오히려 청와대 시절 벙커는 약간 지상으로 돌출돼 있어 대통령이 근무하기에 보안이나 안전은 여기가 더 안전하다고 이야기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민주당에서 국정원도 파악 못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도·감청 장비 보안 시설이 잘 돼 있다고 햇지만 창문의 진동으로 도·감청이 가능하다. 용산 이전할 때 보안에 대한 부분이 모두 셋팅됐는지, 청와대 보다 더 강화된 부분은 있는지'에 대한 질문도 이어졌다.
이에 대해 이 관계자는 "첫 번째 질문에 대해서는 민주당의 주장이라고 말하고 싶다"며 일축했고 "그거 (창문의 진동으로 도·감청 가능) 포함해 그 이상 시설이 가동됐다고 이야기 하면 될 것 같다. 그리고 많은 분들이 우려하는 NSC 대화 이런 부분이 나간 것인가 하는 의혹을 제기하는데 NSC 보안이나 안전은 청와대보다 용산이 훨씬 더 탄탄하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