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5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제2차 국정과제점검회의'를 주재하고, 한일관계 및 북핵문제 등 최근 부각되고 있는 외교·안보 분야 주요 현안들에 대해 각 분야 전문가 및 국민 100명과 함께 점검하는 시간을 가졌다.

윤 대통령은 "글로벌 협력을 확대해 원전, 반도체, 공급망 협력을 강화하고, 수출 성과와 해외시장 개척을 이뤄낸데 역량을 모을 것"이라고 말했다. ⓒ 대통령실
윤 대통령은 "취임 이후 자유, 인권, 법치의 보편적 가치에 기반하는 국가들과의 연대와 협력을 강조해 왔다"며 "가치를 공유하는 국가 간 연대와 협력은 국제사회에서의 우리의 생존과 국익뿐 아니라 헌법 가치인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와 직결된 문제"라고 말했다.
이어 윤 대통령은 "'국정'과 '외교'는 동전의 양면과 같다"며 "복합위기를 맞아 공급망을 강화하고 첨단기술 혁신을 통해 기술적 우위를 확보하는 데 국가의 미래가 걸려있다"고 했다.
또 윤 대통령은 "가치를 공유하는 국가 간 안보와 경제는 물론 첨단 과학기술 협력이 패키지로 이뤄지는 상황에서 외교·안보는 우리 민생과도 직결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윤 대통령은 그동안의 외교·안보 성과에 대해 국민들에게 설명했다.
먼저 윤 대통령은 "세계적 복합위기, 북핵 위협을 비롯한 안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한·미·일 3국의 협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며 "한미동맹을 군사안보 동맹을 넘어 '글로벌 포괄적 전략 동맹'으로 강화하고, 한일관계를 정상화했다"고 밝혔다.
이어 윤 대통령은 "정부는 글로벌 중추국가(GPS)로서 자유, 평화, 번영에 기여하는 인도·태평양 전략을 제시했다"며 "나아가 사우디, UAE와의 경제안보 협력을 한 단계 도약시켰고, 모든 정상외교에서 실질적 성과와 이익을 만들어내도록 '세일즈 외교'를 전방위적으로 펼쳤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은 "정부의 모든 외교의 중심은 경제이며, 앞으로도 글로벌 협력을 확대해 원전, 반도체, 공급망 분야의 실질 협력을 강화하고 수출 성과를 이뤄내는데 역량을 모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첨단 과학기술 협력이 패키지로 이뤄지는 상황에서 외교․안보는 우리 국민의 먹고사는 민생과 직결된다"고 말했다. ⓒ 대통령실
윤 대통령은 대북상황과 관련해 최근 북한의 불법적인 핵 미사일 개발과 연이은 도발로 한반도와 동북아 안보 상황이 그 어느 때보다 엄중하다고 진단했다.
윤 대통령은 "동맹의 확장억제 능력을 강화하고, '한국형 3축 체계'를 보강해야 한다"며 "북한의 어떠한 위협에도 싸워 이길 수 있도록 확고한 대적관과 군기를 확립하고, 실전 훈련으로 전력을 극대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끝으로 윤 대통령은 "지난달 정부가 북한 인권보고서를 최초로 공개했다"며 "북한 주민의 처참한 인권 유린의 실상을 국제사회에 알리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북한인권법이 실질적으로 이행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약속했다.
한편 이번 제2차 국정과제점검회의는 지난해 12월에 열린 제1차 국정과제점검회의에서 국민 패널들이 주로 질의했던 것과 달리 외교·안보 분야 전문가들이 질의를 주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