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린트
  • 메일
  • 스크랩
  • 글자크기
  • 크게
  • 작게

위믹스 논란에 금융당국 나섰다 "가상자산 상폐 기준 검토"

"제도적 측면서 개선점 가능성 찾을 것"…업계 "투자자 구제는 힘들 것"

박기훈 기자 | pkh@newsprime.co.kr | 2022.11.27 12:24:00

금융당국이 '위믹스' 관련 제도적 개선 여지에 대해 검토에 들어갔다. 사진은 경기도 성남시 위메이드 사옥 모습 ⓒ 연합뉴스


[프라임경제] 금융당국이 위메이드(112040)의 자체 발행 코인 '위믹스(WEMIX)'와 관련해 제도적 개선 여지가 있는지 검토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지면 향후 행보에 업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위믹스 상장폐지 결정 이후 시장 상황을 모니터링하며 가상자산 시장의 상장폐지 기준과 관련한 제도적 검토에 돌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감원 관계자는 "'위믹스' 상장폐지 결정과 관련해 관리·감독할 수 있는 법적 권한이 없는, 규율 공백인 상황"이라면서도 "상장폐지를 두고 양측의 논리가 갈리며 형평성 문제가 제기된 만큼 제도적 측면에서 개선점이 있을지 검토하고자 한다"고 언급했다. 

앞서 지난 24일 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 등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들이 '위믹스'의 상장폐지를 결정했다. 당시 해당 거래소들은 각각 공지사항을 통해 "디지털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DAXA·이하 닥사)에 의해 위믹스의 거래지원 종료가 결정됐다"고 발표했다. 

해당 4개 거래소는 내달 8일 오후 3시에 위믹스에 대한 거래지원을 종료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코인 출금까지 불가능해지는 출금 종료일은 거래소 마다 다르다. 업비트는 내년 1월7일, 빗썸은 내년 1월5일, 코인원은 오는 12월22일, 코빗은 오는 12월31일이다.

민·당·정 협의에 따라 닥사는 지난 10월부터 '거래지원심사 공통 가이드라인'을 시행 중이다. 이로 인해 가상자산업계는 금융당국과의 협의 없이도 닥사를 통해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게 됐다.

이에 대해 위메이드 관계자는 "'위믹스' 거래지원 종료에 대한 가처분 신청을 준비 중"이라며 "개별 거래소 별로 바로 잡도록 하겠다"고 입장을 내놓은 바 있다. 

'위믹스' 상장 폐지 결정에 가장 크게 작용한 것은 '유통량 계획' 제출 기준의 공정성·형평성이다. 닥사는 '위믹스'의 유통량이 계획을 과도하게 초과했다는 점을 짚었다.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지난 10월27일 오후 8시 기준 위믹스 유통량은 3억1842만여개로 위메이드 공시량인 약 2억4597만개보다 29%가량 많았다. 이에 같은 날 닥사는 '위믹스'를 투자 유의 종목으로 지정하기도 했다. 

또한 투자자에게 미흡하거나 잘못된 정보를 제공한 점도 문제삼았다. △미디엄, DART 공시 등을 통해 잘못된 정보를 제공한 점 △닥사의 거래지원 종료 여부 등에 관한 확인되지 않은 정보를 수차례 언론보도 등을 통해 발표해 투자자들에게 혼란을 초래한 점을 지적했다.

하지만 위메이드 측은 거래소 중 업비트 한 곳에만 '위믹스'의 유통계획을 제출했으며, 유통량의 기준과 가이드라인을 요청했지만 회신을 받지 못하는 등 거래소마다 기준이 명확하지 않았다고 반박했다.

다른 가상화폐와의 형평성 문제도 제기했다. 장현국 위메이드 대표는 지난 25일 열린 긴급 기자회견에서 "지금도 업비트에 들어가면 유통계획을 밝히지 않은 코인이 부지기수"라며 "이런 불공정함을 두고 볼 수 없다"고 강조했다. 

한편 업계 전문가들은 금융당국이 가상자산 상장폐지 기준과 관련한 검토에 들어간다고 해도 현재로선 위믹스 상장폐지로 막대한 손실을 보게 된 투자자들이 현실적인 구제를 받기는 어려울 것으로 내다보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해 2만8000원대까지 뛰어올랐던 위믹스는 상장폐지 결정 이후 500원대까지 급락했다.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  
  •    
맨 위로

ⓒ 프라임경제(http://www.newsprime.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